매일신문

"한국·미국 영화 편중 현상 여전"

국내 개봉작의 한국·미국 영화 편중 현상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1.4분기 한국영화산업 결산자료에 따르면 1~3월 국내에서 개봉된 영화 77편 중 75%에 해당하는 58편이 한국과 미국 영화였다. 이들 영화는 1천316만명(서울 기준)의 관객을 동원, 전체 관객의 96.1%에 달했다.

한국과 미국 이외의 영화 국적은 중국 5편(홍콩·대만 포함), 유럽 6편, 일본 5편, 기타 3편이었다.

1.4분기 총 관객은 1천369만명(서울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천156만명에 비해 18.4% 증가한 수치다.

특히 비수기라 할 수 있는 3월의 관객 감소현상은 올해도 이어졌지만 전반적인 관객 증가추세는 유지돼 고무적인 현상으로 평가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지고 있는 한국 영화의 선전으로 올 1.4분기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72.2%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 46%에 비해 26.2%포인트 증가했다.

배급사별 관객 동원 순위를 보면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인 '왕의 남자'를 배급한 시네마서비스가 관객 점유율 28.6%로 1위에 올랐다. 가장 많은 15편을 배급한 CJ엔터테인먼트는 26.4%로 2위를, 13.2%의 관객점유율을 보인 쇼박스가 뒤를 따랐다.

배급부문에 진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MK픽처스가 영화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으로 10위에 오른 것은 눈에 띄는 일.

외국영화 배급부문에서는 브에나비스타인터내셔널코리아가 3편을 배급해 18.0%로 1위를 차지했고, UIP코리아와 CJ엔터테인먼트가 2,3위에 올랐다.

1.4분기 최고 흥행작은 '왕의 남자'였으며 그 다음은 '투사부일체' '음란선생' '나니아연대기-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흡혈형사 나도열' '킹콩' '구세주' '싸움의 기술' '게이샤의 추억' '홀리데이'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