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년 실업급여 신청자 15만명 돌파…증가 지속

해고와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일자리를 잃은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15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전체 신청자의 27%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청년실업 해소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3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56만5천753명 중 29세 이하청년층이 15만3천48명으로 전체 신청자의 27.1%를 차지했다.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는 2002년 8만9천29명에 불과했으나 2003년 11만166명, 2004년 13만8천101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1∼2월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 수가 2만6천998명으로 작년 동기(2만5천262명)에 비해 6.9% 가량 증가하는 등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의 증가추세가이어지고 있다.

다른 연령대의 작년 실업급여 신청자를 보면 30대 16만4천609명(29.1%), 40대 1 2만442명(21.3%), 50대 9만5천238명(16.8%) 등이었다.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최소 180일 이상 근무하다가 경영상 해고, 계약기간 만료,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실직하면 실직 전 평균임금의 50%를 90∼240일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이처럼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은 전반적으로 실업급여제도 이용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청년층의 구직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 집계결과 지난 3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8.5%로 전체 평균(3.

9%)을 훨씬 웃돌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배상근 박사는 "청년실업 문제의 주요 원인은 고학력화 추세 속에 청년층의 눈높이에 걸맞은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고 있는 것"이라며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투자 여건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