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부터 분열의 정치 그만두어야

노무현 대통령이 어제 현충일 추념사에서 "분열을 끝내고 국민의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며 "독선과 아집, 배제와 타도는 민주주의의 적이자 역사 발전의 장애물"이라고 말했다. 아주 지당한 말씀이다. 시비 걸 것도 없는 명확한 문제의식이다. 그런데 같은 내용의 말도 누가 했느냐에 따라 전달력이 달라지고 메시지의 감동이 있고 없고 한다.

어제 대통령의 말을 전해 들은 많은 국민은 어리둥절했다. 국민을 향해 언급한 분열'독선'아집 따위는 정작 이 정권에 딱지처럼 따라붙는 단어들이기 때문이다. 이 정권은 '민주' '평화' '개혁'을 독점한 것처럼 행세하면서 지지세력이 아니면 경계를 짓고, 최근에는 양극화를 내세워 모든 문제를 극단화하고 편을 갈랐지 않은가. 증세 정책도 상위 20%를 쥐어짜기 때문에 80% 국민은 걱정 말라는 식 아닌가. 우리 사회의 분열은 거기에서 싹트고 깊어졌다고 보는 게 일반적 상식이다. 열린우리당 스스로도 지방선거의 참패는 그런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이라 진단했으니 이의를 달 것도 없다.

대선에서 불과 1.8% 차이로 승리한 대통령이 지난 3년 동안 그 반대에 섰던 사람들을 얼마나 포용하고 그들의 얘기에 귀 기울이려 했는지 본인이 잘 알 것이다. 국민 통합을 내세워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는 대통령은 야당과는 얼마큼 타협의 정치를 해 왔는가. 항상 자신만이 옳고 상대는 부정하며 가르쳐야 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아집의 정치를 해 온 기억들 외에는 달리 떠오르지 않는다.

정치는 말이 전부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고통치자는 '말 따로 행동 따로'라는 소리가 나와서는 권위가 서지 않는다. 그런 소리가 나오지 않으려면 자신에 덧 씌워진 이미지가 무엇인지 헤아릴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말의 힘이 생겨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