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외국인 배우자와 결혼하는 '국제결혼' 이 급증하면서 배우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이주여성은 물론 국제결혼 부부의 2세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정부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6일 관계 당국의 '국제결혼 가정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이뤄진 결혼 가운데 국제결혼이 차지한 비율은 13.6%에 달해 1990년의 1.2%에 비해 무려 11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이들 사이에 태어났거나 태어날 2세도 2010년에는 1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인 남편' 5천 명 최다= 전체 결혼 건수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1.2%였던 것이 1995년 3.4%, 2001년 4.8%, 2002년 5.2%, 2003년 8.4%, 2004년 11.4%, 2005년 13.6%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4만 3천121건의 총 국제결혼 건수에서 외국인 부인을 얻은 경우가 전체의 약 72%에 달한 3만 1천180건으로 외국인 남편을 얻은 건수(1만 1천941건)의 약 2.6배에 달해 여성보다 남성이 외국인 배우자를 얻는 경우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은 중국이 2만 635명(66%)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5천822명 18.7%) 일본(1천255명 4.0%) 필리핀(997명 3.2%) 몽골(561명 1.8%) 우즈베키스탄(333명 1.06%) 미국(285명 0.91%) 태국(270명 0.87%) 러시아(236명 0.76%)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 남성과 아시아 여성 간 결혼이 국제결혼의 주류였던 셈이다. 같은 해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외국인 남성은 중국인이 42.2%인 5천42명, 일본인이 31%인 3천672명으로 각각 1, 2위를 차지했으며 미국(1천413명 11.8%) 캐나다(285명 2.38%) 방글라데시(252명 2.1%) 파키스탄(219명 1.83%) 영국(106명 0.89%) 호주(102명 0.85%) 대만(92명 0.77%) 독일(85명 0.71%) 등 순이었다.
◇ 국제결혼 급증 배경은 = 지난해 국제결혼 중 한국 남성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건수가 약 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최근 저소득층 내국인 남성과 아시아계 여성의 결혼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결혼 양태 중 하나로 발전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국내 남성의 상당수는 빈곤·저소득층, 장애인, 혼기를 넘긴 고령자 등으로 파악됐고 재혼이 45.3%에 달했다.
보고서는 국내에서 배우자를 찾지 못하자 외국인 신부를 찾는 남성들이 늘어난 점, 한국행을 희망하는 외국인 여성의 증가, 1999년 결혼 상담업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뀐 이래 국제결혼 알선업자의 난립 등이 국제결혼 증가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결혼 2세 대책 마련 시급 = 보고서는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2세 혼혈아가 2010년이면 10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차별 방지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국제결혼한 부모를 둔 2세 대부분이 육아과정에서 한국어가 서툰 모친의 영향으로 발달성 언어장애를 겪는 경우가 허다하고 학교에 들어가서도 또래들에게 '튀기', '코시안'이라는 등 놀림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혼혈아가 도시지역 3천469명, 농촌지역 2천593명 등으로 집계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특별교육 프로그램이 전무해 저학력 및 빈곤의 대물림과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