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벡으로 치료받고 있는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10명 중 9명이 5년째 생존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최근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모임에서는 2000년 선보인만성골수성 백혈병 치료제였던 글리벡과 당시의 표준치료법 인터페론 알파와 아라-C 병합요법의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시작된 임상 연구 프로젝트 IRIS의 5년 추적 결과가 발표됐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오리건 건강·과학 대학의 브라이언 J. 드루커 박사는 글리벡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89.4%였으며 사망 원인 중 백혈병은 4.
6%에 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나머지 사망 원인은 교통사고 등 약물치료와 관계없는 것들로 파악됐다.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2002년 미국 당뇨병학회 학술지 'Di abetes Care'에 발표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5년 생존율 81%와 견줄 만한 비율로 평가된다.
특히 글리벡 치료 후 혈액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아 완전한 세포유전학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 환자는 치료 1년째 69%였으나 5년째에는 87%로 증가해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RIS는 세계 16개국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1천106명을 대상으로 시작된 임상 3 상 연구다. 연구 도중 글리벡의 효과가 입증되자 인터페론 알파와 아라-C 병합요법으로 치료받던 환자들은 대부분 글리벡으로 치료방법을 전환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글리벡으로 치료받던 환자의 5%만이 피부 발진, 간 기능 이상, 체내 수분 저류 등의 부작용 때문에 약을 중단했다. 또 글리벡이 효과가 없었거나 백혈병이 진행된 경우는 11%였다. 드루커 박사는 "이 약이 환자의 병을 뿌리뽑을 수 없는 한 환자가 언제까지나 약을 중단하지 않고 복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국 노바티스 종양학 의학학술부 김기원 부장은 "앞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은 잘 관리하면 건강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라고 인식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장은 특히 "오히려 병이 호전된 환자들이 치료에 소홀해질 수 있다"며 재발이나 내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치의의 처방을 철저하게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리벡은 2001년 판매허가를 받아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중 95%에 해당하는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게 사용돼 왔으며, 환자는 고혈압이나 당뇨병에서처럼 매일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 한다.
애틀랜타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