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金成鎬) 법무장관 내정자와 열린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의장 간의 오래된 '악연'이 새삼 화제다.
85년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사건으로 서대문 구치소에 구속수감된 김 의장이 그해 9월 고문 기술자 이근안 씨에게 고문받은 사실과 본인의 항변을 담은 탄원서를 재판부에 제출하려 했지만 구치소에서 법원으로 전달되지 않고 검찰 단계에서 증발돼 버렸다는 것.
당시 김 의장이 제출한 탄원서는 무려 100페이지가 넘는 분량으로, 이근안 경관이 어떤 수법으로 고문을 했으며 어떤 진술을 강요했는지 자세히 기록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장의 한 측근은 8일 "법원으로 넘어갔어야 할 탄원서가 중간에 사라졌다."면서 "나중에 알아보니 당시 김성호 검사가 탄원서를 법원으로 보내지 않고 그대로 깔아 뭉갰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이 측근은 "비합리적인 일이긴 하지만 직접 고문한 이근안 씨도 용서했는데 탄원서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은 걸 갖고 지금까지 서운해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이 '문재인 불가론'을 내세우며 신임 법무장관에 대한 인사추천을 할 당시 김 내정자가 제외된 데 대해서도 김 의장 측은 "과거 일들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우리당은 단수 후보로 임내현(林來玄) 당 법률구조위원장을 추천했었다.
이에 대해 김성호 내정자는 "당시 김 의장 부인께서 김 의장이 수사 중 고문을 당했다는 취지의 고발장을 냈고 나는 당시 서울지검 특수부에서 그 사건을 배당받은 적이 있다."며 "그러나 이근안 씨 관련 사건의 탄원서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는 "86년 7월에 인사발령이 나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게 돼 고발사건도 후임자에게 넘겨주느라 수사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내정자는 이날 김 의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이 내용을 해명했으며, 김 의장이 "뭔가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