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의 사업장 폐기물 중 22.3%가 폐유나 분진 등이 섞인 지정폐기물로 분류됐다.
사업장 폐기물의 경우 유해물질 함량기준 이상은 지정폐기물로, 기준 미만은 일반폐기물로 각각 분류된다.
14일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장에서 나온 폐기물 211건을 채취, 검사한 결과 22.3%인 47건이 지정폐기물로 분류됐으며 나머지 77.7%인 164건은 일반폐기물로 판정했다.
지정폐기물로 분류된 폐기물 중 폐유가 81.3%로 가장 많았고 분진 15.8%, 오니(슬러지) 6.8%, 폐토사 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 중 함량기준을 초과한 성분은 기름이 40건, 구리 2건, 납.수은.시안.트리클로로에틸렌.테트라클로로에틸렌 1건씩인 것으로 각각 조사됐다.
한편 일반폐기물은 자체 처리하거나 일반폐기물 처리업체에 위탁해야 하고 지정폐기물은 자체 처리 또는 지정폐기물 처리업체에 위탁해야 한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