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할만한 미래 성장동력산업이 없네요…."
국세청이 실시하고 있는 '미래 성장동력 산업' 세정 지원 사업 대상에 대구경북 소재 기업 비율이 전체의 3%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성장동력산업'은 차세대 반도체, 지능형 로봇, 차세대 이동통신, 디지털콘텐츠 등 부가가치가 높은 10대 미래 주도 산업으로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 등이 선정하며 국세청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된 업체에 대해 2년(지방기업은 3년)간 세무조사 유예와 납기 연장, 조기환급 등의 지원을 하게 된다.
전국적으로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된 업체는 305개 업체로 대구청(대구경북) 소재 기업은 11개, 부산청은 12개, 광주청은 3개이며 나머지는 서울청(146개)과 중부청(102개), 대전청(31개) 등 수도권 소재 기업들이다.
대구국세청 관계자는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을 받으면 세금 문제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고 기술개발이나 경영에만 전념할 수 있다."며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좀 더 많은 중소기업들이 세정 지원 혜택을 받으면 좋지만 대상 조건에 맞는 기업이 너무 적어 아쉽다."고 밝혔다.
한편 국세청은 일자리창출 기업 지원 사업으로 지난해에 비해 상시 근로자수가 10% 이상(최소 10인 이상) 증가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3년간 세무조사 유예를 실시할 예정이며 지방 창업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5년간 조사를 유예하고 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박지원 "김정은, 두번 불러도 안 보더라…우원식과 악수는 큰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