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지위 논란이 일고 있는 명왕성이 계속 행성의 위치를 유지하는 대신 새로운 분류체계가 도입돼 태양계 행성이 9개에서 12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년간 '행성'과 혜성 및 소행성이 속하는 '태양계 소형 천체'의 정의 문제를 연구해온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행성정의위원회(PDC)는 16일 프라하에서 세계 75개국 2천500여 천문학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IAU 총회에 이런 내용의 ' 행성 정의' 결의안을 제출했다.
천문학자와 과학저술가, 역사가 등 7명으로 구성된 PDC가 내놓은 이 안은 수성과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8개 행성을 '고전 행성'으로 분류하고, 명왕성 등 3개 천체를 '명왕성형 행성'을 뜻하는 '플루톤(Pluton)'이라는새 행성 범주에 넣고 소행성인 세레스(Ceres)도 행성으로 인정한 것이다.
이로써 그동안 논란 대상이 돼온 명왕성은 '플루톤'이라는 새 행성 범주를 통해행성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고 그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명왕성의 최대 위성 카론과 2003년 발견돼 행성 논란에 기폭제가 된 '2003 UB313(일명 제나)도 행성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
행성은 쉽고 단순하게 '크고 둥근 천체'라고 정의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크기와 형태의 기준을 따지면 문제가 복잡해진다. '하늘에 고정돼 있는 별을 배경으로 태양을 회전하는 천체'라는 행성의 정의도 기술 발달로 태양계 외곽에서 새 천체들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거센 도전을 받아왔다.
론 에커스 IAU 총재는 행성 정의 논란에 대해 "현대 과학은 기존의 행성 정의를뛰어넘는 많은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며 "근래 명왕성과 비슷하거나 더 큰 천체가 새로 발견됐고 이런 발견들은 기존의 행성 정의에 의문을 던져줬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