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일 새 시장이 취임 두 달 만에 대구시의 財政(재정) 운용 방향을 전환키로 했다고 한다. 전임 조해녕 시장은 기존 빚이 너무 많다며 갚는 데만 열중했으나, 앞으로는 새 빚을 내는 데 주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내년도 당초 예산도 아니고 올 추경 예산에서부터 당장 빚을 끌어대겠다고 나서는 태도에서는 심상찮은 느낌까지 받게 될 정도이다.
빚내기가 물론 반대만 할 일은 아닐 터이다. 특히 문희갑 전 시장 때는 적극적으로 빚을 내 일을 벌이는 게 시 재정에도 오히려 得(득)이라는 판단을 보였으며, 신천대로 건설이 대표적 성공 사례로 제시됐다. 그러다 보니 이율 낮은 외국 돈 빌리기에 공을 들여 '양키 본드' 발행 때는 미국 현지 로드쇼까지 벌였었다. 그런 반면 대구 경우 이미 너무 많은 빚을 졌다고 걱정하는 목소리 또한 높다. 나흘 전 공개된 지방정부 자료를 이인영 국회의원이 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구시는 1인당 公債(공채) 규모가 94만 2천 원으로 전국 최고이다. 서울은 10만 8천 원이다. 원인의 45%가 지하철 건설이라지만, 이미 빚을 내 빚을 갚아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끼어들었다는 분석은 우려를 부르기 충분하다.
그렇게 엇갈리는 주장들은, 빚내기에도 장점이 있으나 여건에 맞게 해야 한다는 말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상 10여 년 만에 재개되는 것으로 보이는 이번 은행 빚내기의 지금 여건은 별로 좋아 보이지 않는다. 주로 부동산 去來稅(거래세)에 의존하는 지방 재정력이 다시 약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인 반면, 그 사이 대구시 재정에서의 경직성 지출 비중은 폭증했기 때문이다. 기채 계획은 이미 시의회에 넘어가 있다. 차제에 시민들의 공감대를 충분히 넓힐 만한, 대구시의 재정 운용 방향에 대한 전면적 토론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