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골퍼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플라잉 웨지(the flying wedge)'라는 용어가 있다. 우리 말로 '나는 쐐기'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지만 생뚱맞은 말이다. 하지만 클럽 헤드를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용어 자체는 몰라도 그 개념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것이 좋다.
플라잉 웨지란 오른 손등을 팔뚝 쪽으로 구부렸을 때 클럽 샤프트와 오른 팔뚝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 모양의 각을 의미한다. 백스윙 때 왼 손목의 코킹과 함께 이루어지는데 다운 스윙 때 이 각이 유지되어 내려오는 모습이 마치 날아다니는 쐐기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사진 1). 결국은 프로와 아마추어 스윙의 차이가 이 플라잉 웨지의 유지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이다.
"클럽은 끌고 들어와야 한다"라는 프로들의 조언이 머리로는 이해가 가지만 몸이 잘 따라주지 않는다는 것이 많은 주말 골퍼들의 공통된 고민이다. 하지만 이미지를 조금 바꿔보면 쉽게 이해할 수도 있다. 오른 손목이 일찍 풀리는 골퍼들에게는 클럽을 끄는 것이 아니라 이 플라잉 웨지를 끌고 들어온다는 이미지가 더 바람직하다.
그런데 여기서 끈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 궁금해질 수 밖에 없다. 가끔은 지극히 단순한 이미지나 느낌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골프 클럽 대신 젖은 밀대를 잡고 끌어보면 그 느낌을 이해하기가 쉽다. 밀대를 클럽처럼 잡고 플라잉 웨지를 만든 다음 이 플라잉 웨지를 공 쪽(안에서 바깥 쪽)으로 보내며 걸레질을 해보면 젖은 걸레의 저항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사진 2).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오른 손목이 더 뒤로 젖혀질 정도로 젖은 걸레의 무게 감을 느낄 때도 있다. 이런 식으로 클럽 헤드의 무게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손만으로는 이런 느낌을 느낄 수가 없다는 것이다. 플라잉 웨지를 유지하고 또 묵직한 걸레의 저항을 느끼며 공까지 걸레질을 하기 위해서는 상반신의 회전이 필수적이다. 상반신의 회전으로 젖은 걸레의 저항을 끌어낸다는 느낌이 다운 스윙의 이미지와 매우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참에 젖은 밀대로 집안 청소를 도와주는 것도 스윙 연습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배창효 스윙분석 전문가
※매주 금요일 게재되던 골프 칼럼을 이번 주부터 화요일로 옮겨 게재합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