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면서 느낀 점 가운데 하나가 사회전반에 걸쳐 윗 사람에 대한 존경과 조직내 연공서열문화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점이다. 또 놀라운 것은 이것이야말로 한국 사회와 조직문화를 해석하는 '핵심 키워드'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상의 비즈니스 문화에서 특히 잘 관찰되고 있으며 필자가 직접 피부로 느끼고 있는 부분이다.
관습과 문화가 다른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이런 보편적인 현상을 제한된 지면에 다 담아낼 수는 없다. 어떤 가능한 비즈니스 상황을 생각해 보고 연공서열과 존경의 문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면 외국인에게 큰 흥미를 끌게 하는 요소들을 발견해내기도 한다.
한국인의 존칭어 관습을 비롯해 가부장적인 교육이나 공식적인 교육, 나아가 비즈니스 단체들의 내부 조직 교육 및 조직 환경 등 모든 것들이 연공서열과 존경에 관한 것이고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
이는 상황이나 주제가 무엇이든 간에 '존경'의 문화가 모든 것에 우선해 구름처럼, 혹은 태양처럼 떠 다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부모, 스승, 상사, 연장자, 지위, 부(富) 그리고 직위에 대한 존경의 문화가 한국인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듯 싶다.
당연히 이런 부분들은 외국인의 눈에 놀라움 그 자체이고 이런 문화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도록 만든다. 연공서열의 부정적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비즈니스 사회가 놀라운 성장과 성공을 향하여 나아가는 동안 존경의 문화가 어떻게 긍정적인 면을 강화해왔는가를 직접 관찰할 수 있었고 실제로 확인했다.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 존경의 문화에 대해 몇가지 시나리오를 가상해 보자.
첫째, 어떤 조직 내에서 비즈니스 회의를 하는 경우를 가상해 보자. 참석자 중 최상급자 또는 연장자가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묻는다. 그러나 그 어느 누구도 자발적으로 의견을 개진하지 않는다. 단지 약간의 '압력성' 분위기가 누군가를 하여금 반응하도록 느슨하게 바꿔줄 뿐이다.
둘째, 상급자나 연장자가 부하 직원을 꾸짖는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아랫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반응하지 않을 것이다. 그 직원은 상사가 훈시나 지시를 끝낼 때 까지 기다리고, 그런 후 사과하거나 자신의 입장을 설명한 후 그 자리를 뜰 것이다. 물론 그 어떤 논쟁도 쉽게 용납되지 않아 논쟁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서양의 비즈니스 문화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현상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셋째, 서로 협력이 필요한 두 부서가 있는 경우 같은 수준의 직위를 가진 사람간의 대화가 전제되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직위 차이와 조직원간의 차별은 회사의 목표 달성을 힘들게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존경과 연공서열의 문화가 아주 흥미롭게도 한국과 같은 21세기 현대화된 경제 시스템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상사에 대한 존경과 연공서열의 조직 및 사회 문화가 개인의 성취나 능력보다 더 우위에 있는 이 같은 거대한 분위기를 일상의 비즈니스 상황을 가정해 묘사해 볼 수 있다.
한국사회에는 윗 사람에 대한 존경과 연공서열의 관습과 전통이 수백년 간 엄격한 규율로 유지되며 계속 이어지고 있는 듯하다. 외국인의 시각에서는 이런 전통이 비즈니스나 조직에서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늘 그렇듯 한국은 놀라운 성취를 이끌어 냈다.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비즈니스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을 지켜보는 것은 참으로 흥미롭다.
모셰 샤론 대구텍 대표이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