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연구중인 20대 유학생이 제1형 당뇨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당뇨병 발병을 막는 동물시험에도 성공, 소아당뇨 치료에 청신호가 켜졌다.
미국 시카고대학 병리학과 이유진(27.여) 박사는 몸속 면역세포인 T-세포가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에서 활성화되면서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베타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당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박사를 제1저자로 한 이번 연구결과는 셀(CELL)의 자매지로,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이뮤니티(Immunitity)'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10월호에 정식 게재될 예정이다.
'1형 당뇨'는 탄수화물의 대사를 통해 혈중 내 당을 조절하는 중요 역할을 하는 인슐린이 췌장에서 분비되지 않는 질환으로 인슐린 주사를 맞든지, 약을 먹어야만 한다.
체내 인슐린의 농도가 낮아지면 더 이상 혈중 내에 당을 저장 할 수 없기 때문에 고혈당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 당뇨성 혼수(ketoacidosis), 탈수, 다뇨증(polyuria.다량의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등을 일으킨다.
보통 1형 당뇨는 선천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소아 당뇨로 불리는데, 전체 당뇨환자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2형 당뇨는 혈중 인슐린의 양은 충분하지만 어떤 이유로든 인슐린에 저항성이 생겨 인슐린이 제구실을 하지 못해서 생긴다.
논문에 따르면 그동안에는 비장이나 림프 조직에서 자가 항원에 반응하는 T-세포가 활성화되고, 이 T-세포가 췌장으로 이동해 베타 세포를 손상시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체내에 T-세포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병균 대신 인체를 공격해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루푸스 등의 한 자가면역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체내 면역세포인 T-세포가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에서 활성화되고, 이 T-세포가 베타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당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암세포괴사 인자의 하나인 '라이트(LIGHT)' 단백질이 림프성 구조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는 베타 세포를 공격하는 T-세포가 비장이나 림프조직에서 활성화될 것이라는 그동안의 이론을 뒤집는 것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또한 쥐를 대상으로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 형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1형 당뇨의 발병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데도 성공했다.
이 박사는 "기초 연구성과이긴 하지만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 형성을 막는다면 1형 당뇨를 예방할 수 도 있을 것"이라며 "특히 이 연구성과를 이용하면 당뇨 뿐만 아니라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