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의 약 절반 가량은 자신의 집이 아닌 곳에서 세를 드는 형태로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돼 주거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구 참여연대에 따르면 2004년 기준 대구지역의 주택 보급률은 60.6%에 이르지만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는 56.2%에 불과했다.
특히 지역의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가운데 자기 집을 소유한 경우는 전체 4만3천990가구(9만713명.2005년 기준)의 2.9%에 불과했다.
기초생활수급권자는 월세거주 가구가 33.2%로 가장 많았고, 영구임대주택 20%, 전세 13.3%, 보증부월세가 8.2% 등으로 나타났다.
또 1천400여명의 수급권자는 쉼터나 부랑인시설, 거리에서 노숙자로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이들의 주거 수준이 매우 열악한 처지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알려진 차 상위계층에 대한 주거환경 통계는 거의 없는 형편이어서 이들에 대한 별도 조사.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구 참여연대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대구지역의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집에서 사는 가구는 전체의 22.7%인 15만9천여가구에 달한다"며 "대구시는 주택조례 등을 통해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 참여연대는 28일 오후 경북대에서 주거양극화 해소와 시민권리 찾기 운동 등을 전개할 '사회 인권센터'를 발족, 운영에 들어간다.
사회 인권센터는 우선 주거환경의 양극화 해소를 위해 ▲소형평형대 임대주택의 충분한 건설 ▲임대주택 입주에 필요한 비용 지원과 저렴한 임대료 책정 ▲장기간 안정되는 거주환경 마련 등을 대구시에 요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