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열린우리당 간에 반복돼온 당·청 갈등을 어떻게 봐야 할까?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의 고위 당직자는 1일 "하나의 '사이클(순환 주기)'로 봐야 한다."고 진단한 뒤 "현재의 당·청 갈등도 조만간 수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에 따르면 정치적인 현안들에 대해서는 여·야가 협상을 벌이고 힘 겨루기를 하는 식으로 진행되는 데 반해, 코드 인사 등 청와대와 결부된 사안들에 대해서는 여·야가 아니라 당·청 간의 갈등이 불거져왔다는 것.
즉, 이들 사안을 놓고 야당과 청와대가 대결하는 양상으로 치닫게 되면 당·청은 대응 방법을 놓고 이견을 표출하다가, 결국 양측간 갈등을 초래하게 됐다는 분석.
그리고 당·청 갈등이 심화되면 노무현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 임기나 당적문제 등과 관련된 발언을 하게 되고, 며칠 지나면 다시 봉합되는 '주기(週期)'를 되풀이 해 왔다는 것.
노 대통령이 지난 해 7월 한나라당에 대연정을 제안할 때도 열리우리당에서는 호남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 기류가 거세지면서 당·청 갈등 기류가 표면화 됐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대연정을 성사시키기 위해 여당의원들과의 만찬자리를 빌려 2선 후퇴 혹은 임기단축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까지 했으나 결국 한나라당에 거절당했고 대연정 정국은 가라앉았다.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동의안 처리문제를 둘러싸고 야당의 반발이 거세지자 열린우리당에서는 자진사퇴 쪽으로 기류가 바뀌면서 청와대 측과 갈등을 빚기 시작했다. 청와대는 여·야·정 정치협상회의를 제의했으나 여당과의 사전조율없이 발표했다는 반발을 초래, 양측 갈등이 더욱 확산되다가 노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 시사 발언까지 제기되기에 이르렀다.
당·청 갈등이 이처럼 되풀이 되는 주된 이유로 이 당직자는 현 정부의 정무직 폐지를 꼽았다. 정무장관이나 청와대 정무수석 자리가 없어짐으로써 각종 현안들에 대한 당·청 간 조율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노 대통령의 당·정 분리 원칙이 확고, 정무직 부활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박지원 "김정은, 두번 불러도 안 보더라…우원식과 악수는 큰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