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가 대선 예비후보들이 선거일 1년 전부터 후원회를 두고 정치자금을 모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관련법 개정 의견을 국회에 냈다. 후보들이 당내 경선 기간에 한해서만 후원회를 둘 수 있어 사실상 음성적으로 자금 조달을 하고 있는 현실을 고치겠다는 취지다. 여야도 다른 법은 티격태격하면서 여기서는 한목소리다. 정치권과 선관위가 사전에 입을 맞췄을지도 모를 일이다. 국회 통과는 시간 문제인 것 같다.
현재의 정치자금법으로서는 범법자를 양산한다는 지적을 모르지 않는다. 예비주자들이 보통 1년 훨씬 전부터 사무실 운영'참모 고용'대내외 활동으로 막대한 經費(경비)를 쓰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정치권에서는 내년을 향해 뛰고 있는 여야 유력 주자 대부분 한 달에 1억 안팎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현역 의원 2명을 빼고 4명은 고정 수입이 없고, 국회의원도 한 달 월급이 870여만 원인 처지다. 그 나머지 비용을 어디서 調達(조달)하고 있는지 요지경인 것이다.
선관위는 이런 실정을 반영해 대통령 선거비용 제한액의 5%까지 정치자금을 모을 수 있게 하고, 당내 경선 때 또 5% 추가 모금하는 길을 열어 주겠다는 것이다. 2002년처럼 선거가 끝나면 여야 할 것 없이 대선 자금 때문에 줄줄이 감옥행 사태가 빚어진 전례에 비추어 一理(일리)가 없지 않다. 미국 같은 경우도 보통 1년 6개월 전부터 후원회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의 눈에는 영 마뜩잖다. 지금처럼 정치자금을 制限(제한)한 취지에는 法定(법정) 스케줄에 맞춰 선거운동을 하라는 뜻이다. 예비후보들이 일찍부터 설쳐 선거를 조기과열 시키지 말라는 얘기다. 그런데도 대권에 욕심을 둔 사람들이 서둘러 사무실을 차리고 강연이다 출장이다 하며 밥값 술값으로 막대한 비용을 펑펑 써대고 있다. 물론 현역 의원은 후원회 모금이 가능하지만 지금 쓰는 비용을 대기에는 분명 턱없이 모자랄 것이다. 따라서 법 개정은 조기 선거운동을 뒷바라지하는 격이다. 현재 예비후보로서는 47억 원까지 모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에다 2년 전 정치개혁 차원에서 금지한 법인'단체의 정치자금 기탁을 부활시키겠다고 한다. 기탁 창구를 선관위로 했지만 결국은 정당이 기업에 손을 벌리는 셈이다. 이 참에 정당 국고보조금 25% 인상도 추진한다는 것이다. 정말 밥값이나 하면서 이러면 밉지나 않겠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