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 준비하세요
▶바탕주=소주는 맛과 냄새, 색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 재료가 가진 독특한 향기와 맛, 색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다. 완전히 건조된 약재나 재료는 25도가 적당하고 수분이 있는 열매와 과실, 재료 등은 30~35도 정도로 담그는 것이 좋다.
▶감미료=지나치게 맛이 없을 때 술맛을 더 해주는 역할을 하며, 발효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되도록 넣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벌꿀이나 얼음설탕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 백설탕, 황설탕을 사용해도 된다.
▶재료=신선한 것이 좋다. 재료가 가지고 있는 약효와 향, 맛과 색깔을 제대로 살릴 수 있으며 과실이나 모양이 좋은 일부 재료는 통째로 담그는 것이 좋다. 약재는 건조 및 보존상태, 품질 등을 잘 살펴 한약방이나 한약재료상에서 구입한다.
▶용기=옹기, 유리병, 자기항아리 모두 무방하다. 그러나 보기 좋고 담글 때 편리하려면 용기 입구가 넓고 밀봉이 가능한 유리병이 좋다.
▶담그기=약술의 재료는 신선도가 떨어지기 전에 빨리 담궈야 한다. 꽃과 과일은 90% 정도 피거나 익었을 때 가장 알맞고 재료에 따라 조심스럽게 취급하고 물로 씻을 수 없는 것은 거즈나 마른 행주로 닦는다. 흙이 묻은 뿌리 등의 재료는 흙을 털고 물로 씻어 물기를 완전히 말려서 이용한다. 반드시 담근 날짜와 재료명, 복용법, 보존기간 등을 메모해 용기에 붙여 놓는다.
▶숙성=담근 약술은 약재를 10일에서 3개월간 술에 담궈 두었다가 약재를 건져내고 그 가운데 10~20% 정도의 약재만 다시 용기에 넣은 다음 밀봉해 저장한다. 이처럼 약재의 일부를 남겨두고 잘 숙성시키면 술이 순하고 향과 맛도 좋아진다. 그러나 약재의 찌끼가 많으면 숙성이 빨리 되어 맛과 향이 나빠진다. 숙성되는 도중에 마개를 열게 되며 산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마개나 뚜껑을 열지 말아야 한다.
▶보관=약술을 담아 바로 냉장고에 넣어서는 안 된다. 방 또는 거실에 보관할 경우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이나 난방기가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
#이 점은 주의하세요
모든 약에는 용법과 용량이 있다. 약술도 복용법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보통의 술이나 과실주처럼 마시면 안 된다. 약술복용의 기준은 1일 2회, 20ml 정도이며, 아침과 저녁으로 연령과 체질, 질병의 경중에 따라 복용량을 가감하고 복용시간을 조절한다. 또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시는 것이 좋다.
▶반드시 적정량을 마신다. 과하게 마시거나 폭음을 해서는 안 되며 허약한 사람이나 노인은 양을 조금 줄여 마시는 것이 좋다.
▶일정한 시간을 정해 마신다. 매일 1, 2회 식사 전·후 또는 잠들기 전에 마신다. 그래야 신속하게 흡수되어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병이 나으면 복용을 그만 둔다. 치료가 목적이므로 약술이라 해도 무조건 장복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의사의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 질병치료나 치료의 보조용으로 복용할 경우 질병의 치료정도에 따라 약술의 종류와 용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모현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