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의 박근혜 전 대표 측 끌어안기가 이번 주 본격화될지 관심이다.
경선 뒤 양측의 줄다리기가 벌써 2주를 넘긴데다 시기상 박 전 대표와의 화해를 더 이상 미룰 경우 대선을 앞둔 당 전열정비에도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
지난달 23일 이 후보는 "다음주에 박 전 대표를 만나겠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속절없이 한 주가 지나갔다. 이 와중에 박 전 대표는 지난달 27일 2천여 명의 지지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캠프 해단식을, 2일엔 대구에서 경선 선대위 해단식을 가졌다. 두 모임을 두고 이 후보 쪽에선 "해단식이 아니라 출정식"이라며 불편한 속내도 비치고 있다.
따라서 이 후보 측은 이번 주부터 적극적인 화해 제스처로 양자 회동 등 성과를 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 후보 비서실 부실장으로 내정된 주호영 의원은 "두 사람이 만나 대화하면 문제가 쉽게 풀릴 것"이라면서 "박 전 대표 입장이 어떻게 정리되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측 유승민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위상이 인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 친형인 이상득 국회부의장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주 경북출신 국회의원들을 만난 데 이어 3일엔 대구출신 국회의원들을 오찬에 초청했다. 이 부의장은 "강재섭 대표와 대부분의 의원들이 참석하기로 했다."며 "얼굴을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협력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박 전 대표 측과의 화해를 위해 친박(親朴)인 박종근 위원장의 대구시당 위원장 유임 여부도 논의될 전망이다.
이번 주 예정된 대선기획단과 비서실, 특보단 인사에서 박 전 대표 측에 대한 배려도 이 후보 쪽의 화해 제스처와 관련이 있다. 비서실은 성격상 이 후보 측 사람들이 포진을 하겠지만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전에 실무형 인사가 포진할 대선기획단은 성격이 다르다. 당 화합을 위해 박 전 대표 측 인사들을 중용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 후보 측 일부 강경파들이 여전히 박 전 대표 측 인사의 중용에 반대, 이 후보 측근 의원들의 내부 정비가 선결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곤기자 lees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