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남지 않은 2007년. 올해는 취업시장에 어떤 뉴스가 구직자를 울고 웃게 만들었을까. 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에서 '2007년 취업뉴스'를 월별로 정리했다.
▷1월-'백수' 남성 100만 명 넘어서
지난해 육아나 가사 등과 같은 사유가 아닌 단순히 '쉬는' 남성이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는 통계청의 발표가 있었다.
▷2월-대학 졸업장은 실업증명서
대졸 실업자수가 증가하면서 졸업식 참여율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NG(No Graduation)족, 대오(大五·대학 5년)족'이라 하며 졸업을 미루는 학생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3월-주요 대기업 영어 면접 강화
주요 대기업 채용의 가장 큰 변화는 회화 중심으로 영어 실력을 평가한다는 것. 삼성은 영어 면접시험을 강화했고 CJ도 'OPIc'이라는 인터넷 기반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시험을 도입했다.
▷4월-한미FTA 타결로 취업시장 요동 예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FTA 협상 발효 이후, 약 5년간 55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5월-한국과 일본의 대졸 취업시장 '극과 극'
일본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 발표에 따르면 일본의 대졸 남자 취업률은 97%, 여자는 96%인 반면 한국은 청년층 취업자가 계속 감소하고 있어 비교가 됐다.
▷6월-노동부, 성(性)차별적 모집 단속
6월 노동부에서는 남녀고용평등법에 의거, 구인광고나 채용에 있어 남녀를 차별하거나 구체적으로 신체적 조건을 제시한 기업들을 집중 단속했다.
▷7월-현대판 과거시험, 서울시 공무원 9만여 명 응시
서울시 7, 9급 공무원 필기시험에 9만 여명이 응시, 시내 103개 학교에서 실시돼 실질 경쟁률이 평균 52.9대1로 나타나 현대판 과거시험이라고도 불렸다.
▷8월-비정규직법 시행 후 곳곳에서 농성
비정규직법에 대한 논란으로 농성에 돌입한 노조가 속속 늘어났다. 이렇게 노사간의 갈등을 야기한 비정규직법은 '무기계약직' 등의 새로운 직군과 '중규직'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9월-기업마다 직원 학력 검증에 골몰
학력위조 사건을 계기로 기업들은 직원들의 학력 검증에 관심을 가졌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력 검증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도 늘어났다.
▷10월-채용 홈페이지 접속자 폭주로 서버 다운 사태
하반기 공채가 본격화된 10월에 몇몇 기업에서 입사원서 마감 시한 직전 한꺼번에 몰리는 지원자로 인해 채용 홈페이지가 다운되는 일이 있었다.
▷11월-88만원 세대 신조어 유행
교육인적자원부는 올해 4년제 대졸자의 정규직 취업률이 48.7%라고 발표했다. 이를 반영하듯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20대를 일컬어 '88만원 세대'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
▷12월-대선 후보들 취업 공약 줄이어
대선 후보들마다 '250만~500만 개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고 '비정규직 수백만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겠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매월 100만 원을 지급하겠다.' 등의 공약을 내놓았다.
전창훈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