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소득층 밀집지 '교육복지사업' 공적자금 투입

대구 4개구 131억원 지원…교육양극화 해소 종잣돈

특정 지역에 몰린 저소득층의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2005년 처음으로 시행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수혜 범위가 올해부터 확대돼 교육 여건이 열악한 영구임대아파트 주변 학교 등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교육양극화 해소를 위한 공적자금이 투입된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영구임대아파트 등 저소득 밀집지역 병설유치원을 비롯, 초·중·고 등에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해당지역은 대구에만 4곳. 2011년까지 동·북·서·달서구 등 4곳의 기초자치단체에 131억 원이 지원된다.

6곳의 대단위 영구임대아파트가 몰려 있어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비율이 대구시 전체의 23.9%를 차지하는 달서구의 경우 대구시는 2005~2007년 2억 3천여만 원을 6개 초·중·고에 도서관활성화 사업, 인터넷통신비 지원에 사용했다. 이어 2008~2011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50억 원과 달서구청의 5억 원 등 30억 원으로 지원 규모가 늘어 사업 범위도 문화체험활동비, 특기적성비 등으로 넓힐 방침이다. 동구의 경우도 안심지역에 46억 원을 순차적으로 지원해 교육양극화를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민감한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에 대한 심리·심성 관련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은 좋은 평가를 얻고 있어 올해부터는 프로그램 운영 학교수도 늘어난다. 대구 남부교육청 중등교육과 관계자는 "정서적 문제나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술치료나 음악치료를 통해 인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시범 실시하고 있는 2개 학교를 올해부터는 11개교로 확대할 것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출발선에서부터 평등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가 2003년부터 2년 동안 시범실시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2005년부터는 지역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2011년 이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와 기초자치단체가 매칭펀드 형식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