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진 진흙덩어리, 오늘 네가
물방울 맺힌 욕실 거울 속에서 본 것이다
십수 년 전의 환한 달덩이 같은 얼굴이 아니다
푸석푸석 부서져 내리는
진흙 假面. 그걸 볼 수 있는 눈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퍽 대견스럽다.
하지만, 여름 나무가 푸른 잎사귀에 둘러싸여 있듯
그걸 미리 벗어버릴 수 없는 것은
너의 한계,
너의 슬픔.
오래 전, 너의 출생과 함께 시작된
개기월식은 지금도 진행 중.
고진하의 「월식」은 우울한 얼굴에 대한 기록이다. 물론 그 얼굴은 처음에는 '환한 달덩이 같'이 시작했다. 그 '달덩이'에서 낯설고 생경한 '뭉쳐진 진흙덩어리'의 이 행이 얼굴에서 벌어지는 월식 현상이다. '환한 달덩이'의 빛을 가로막는 진흙투성이 애옥살이 탓에 나는 가면을 쓰고 있다. 이 가면은 그러나 마음먹기에 따라서 언제나 벗어버릴 수 있는 삶의 외피 즉 죽음이다. 하지만 그토록 쉽게 떨쳐버릴 수 있다는 현실의 애옥살이란 더욱 더 벗어나기 힘든 진흙 속 이전투구이다. 시인은 교묘하게 두 개의 삶을 보여준다. 진흙의 삶과 달빛의 삶! 혹은 진흙/죽음에 가까이가는 달빛의 얼굴과 그 월식현상을 기억하는 눈! 그 둘은 샴쌍둥이처럼 분리가 쉽지 않다. 월식은 '출생과 함께 시작'된다. 죽음 없이 생도 없다는 그 힘든 언술!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