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청년인턴이 성공하려면 일거리를 줘야

정부가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인턴제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공공기관'지자체'기업 등에서 채용한 청년 인턴들이 몇 달이 안 돼 그만두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가 지난 1월 말 10개월 근무 조건으로 채용한 행정인턴 92명 중 14%인 13명이 두 달 만에 그만뒀고 대구 8개 구청의 행정인턴도 152명 중 25명이 떠났다. 대구교육청도 52명을 채용했으나 12명이 그만둬 중도포기율이 23%나 됐다. 이 같은 현상은 다른 지자체나 기업에서도 공통된 현상이다. 은행권의 경우 현재까지 1천845명의 인턴사원을 채용했으나 이 중 17.8%인 329명이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대란 속에서 청년인턴들의 중도 포기율이 높은 것은 청년인턴제가 미래를 보장해 주지 못하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별로 없는데다 하는 일이라고는 복사나 잔심부름과 같은 허드렛일에 그쳐 취업에 필요한 지식 습득이나 자기계발의 기회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하는 일 없이 자리만 지키고 있는 것 자체가 고역일 뿐만 아니라 이럴 바에는 그 시간에 취업을 위한 자격증 취득이나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는 것이 더 낫겠다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

정부는 지난달 19일 추경예산을 통해 초'중'고 인턴교사 2만5천 명, 공공기관 인턴 4천 명 채용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다 임금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인턴 3만7천 명 채용계획도 있다. 이들에게 허드렛일만 시켜서는 이 같은 계획도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다. 당장 실업률 통계는 좋아질지 몰라도 청년실업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로 남게 된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겠지만 청년인턴을 채용하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은 이들에게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거리를 주도록 해야 한다. 정규직화의 길을 넓히는 것도 한 방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