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제하의 골프 즐겨찾기] 상상 기법

연습때 만큼 공을 잘 치지 못하는 것은 아마추어 골퍼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한다. 이런 문제는 가상과 실제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골프 구력이 짧아서 이런 현상이 빚어진다고 대부분의 골퍼들은 생각하지만 5개월 정도 된 주니어 선수들은 이런 현상을 별로 겪지 않는다. 단시간에 연습을 많이 해서, 몸이 유연해서도 아니다. 골프 입문 과정에서 기본기를 철저하게 익히기 때문이다. 또 프로 코치와 라운딩하는 덕분에 연습장 스윙이 필드에서도 빠른 시간 안에 나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 골퍼들은 시간과 금전적인 제약 때문에 이렇게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아래의 상상 기법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가상과 실제의 차이를 좁혀 보도록 하자. 심리적 시연 기법(Mental Rechersal Technique)으로 불리기도 하는 상상 기법은 어떠한 운동을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시연해 나가는 사고의 전 과정으로서 기능을 향상시키고 불안을 해소시켜 준다.

즉, 선수 자신이 수행할 기술의 가장 성공적인 장면을 실제 장면과 같이 생생하게 그려보는 것으로 새로운 기술의 습득이나 복잡한 기술의 향상을 위하여, 또는 선수 자신의 운동 수행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나 친구, 가족, 생소한 경기장 등 운동 상황의 심리적 압박을 해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실제로 세계적인 수준의 많은 선수들은 시합 직전에 자신의 모습을 마음 속에 그려본다고 한다. '황금 곰' 잭 니클라우스는 마음 속으로 공을 치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지 않고서 골프를 친 적은 없다고 했다. 그는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 요인에 대해 기술 10%, 정확한 위치 선정 40%, 그리고 50%는 볼을 어떻게 칠 것인가를 심리적으로 상상해 보는 것이라고 하며 심리 훈련의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상상의 효과는 수행자가 어느 정도 수준의 기술과 어떤 형태의 행위를 수행하는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상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변수는 상상하게 되는 내용을 개념화할 수 있는 개인적인 능력이다. 특히 상상의 통제 가능성 정도와 어느 만큼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이다.

통제 가능성이란 상상하고자 하는 내용이 수행자 자신의 의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골퍼가 드라이브 샷하는 장면을 상상할 때 공이 쉽사리 맞지 않는다든가, 공의 비거리가 짧은 장면 등은 상상 훈련의 초기에 흔히 나타난다. 또한 상상하는 자신의 기술 수준이 실제 수행 내용에 비해 심한 정도로 높거나 다른 내용을 상상하는 것은 오히려 상상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낮은 핸디캡의 골퍼 중에도 특정 골프장 몇 번째 홀에 가기만 하면 드라이버 샷이 페어웨이를 벗어나는 것은 유독 그 홀에 대한 부담감이 크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고치려면 상상 기법을 높은 수준으로 끌려 올려야 한다.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회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