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넓은 농지가 거대한 지식기반 신도시로 옷을 갈아입는 것이죠."
박인철(59)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앞으로 달성군이 어떻게 달라질지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고 했다. 테크노폴리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국립과학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구분원 등으로 미래의 모습을 가늠할 큰 그릇이 이미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과학고, 경북대 IT융합대학원, 계명대 이공대학원 등 인재양성을 책임질 교육기관에다 첨단산업 시설이 속속 들어서면 달성군은 교육·연구와 산업이 연계된 그야말로 지식경제를 이끌 '산파' 역할을 할 전망이다.
"2015년 테크노폴리스(726만8천853㎡) 조성이 마무리되면 이곳은 지식기반산업을 담아낼 새로운 공간으로, 또 연구와 산업·주거·교육·문화·레저기능이 한데 어우러진 미래형 첨단복합도시 모습을 드러낼 겁니다."
달성군은 이미 이런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현실화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첫삽을 뜬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머릿속 상상에만 맡겨졌거나 불투명했던 각종 사업들도 차근차근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구 편입후 대구시민의 쓰레기 처리장으로, 상수원보호구역 확대 등 대구의 배후 도시로 개발논리에 밀려 각종 규제에 벗어나지 못해 대도시의 변방(?)에 머물렀던 달성군은 이제 인재 양성과 지식 창출의 본거지로 모습을 갖춰가고 있는 것.
박 청장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시대를 뛰어넘어 곧바로 첨단도시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 달성군은 지금 무한한 발전가능성에 도전하고 있다"고 했다.
경제자유구역을 세계와 소통하는 거점도시로 육성, 대구경북을 국제적인 경제권으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박 청장은 "그 중심에 있는 테크노폴리스는 단순한 산업단지가 아니다. 지식이 돈이 되는 미래산업에서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고, 그 인재들이 첨단산업에 활용돼 부를 가져오고, 다시 더 나은 지식을 창조해내는 선순환구조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성공은 달성군민뿐만 아니라 대구경북민 모두가 힘을 보탤 때 가능하다고 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