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高3 1학기 기말시험 대비 이렇게…

고교 3학년에게 있어서 7, 8월 공부는 수능시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중요한 여름철 학습의 출발점이 기말시험 준비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는 학생은 그렇게 많지 않다. 기말시험을 잘 쳐야 방학 공부를 제대로 진행할 수 있다. 학생들은 기말시험을 거치면서 교과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된다. 기말시험은 정시뿐만 아니라 수시모집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더욱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기말시험을 잘 치고 나면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방학 기간에 집중해서 공부에 몰두할 수 있다.

◆(10+10)÷2≠10

많은 학생들이 중간고사를 망쳤기 때문에 기말시험으로는 만회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학교를 거쳐 오면서 성적에 관심을 가져 본 학생이라면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안다. 예를 들어 중간고사 때 반에서 10등을 한 학생이 기말 시험에도 10등을 한다면 단순하게 계산하면 1학기 전체 성적은 10등이 된다. 그러나 중간시험에 10등 안에 든 학생 중에는 기말시험에서 10등 밖으로 나가는 학생이 상당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 학생의 최종 성적은 6, 7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중위권의 경우 중간과 기말의 성적 차이가 심한 학생이 많아서 기말에 최선을 다하면 중간고사 때보다는 훨씬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

◆교과서 정리

교과서는 내신관리를 잘 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학교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서 출제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노트를 등한시하고서는 좋은 점수를 받을 수가 없다. 먼저 교과서를 여러 차례 반복해 읽은 다음 교과 담당 교사가 평소 강조한 점을 철저히 이해한 뒤에 문제집 풀이를 해야 한다. 학급 수가 많아서 같은 과목이라도 학급에 따라 가르치는 교사가 다른 경우는 다른 학급 친구의 교과서와 노트를 빌려 한 번 훑어보는 것도 고득점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선 이해 후 암기

전체 흐름을 먼저 이해하고 세부적으로 암기해야 한다. 시험을 열흘 정도 앞두고 학습계획을 세울 때, 하루에 한 과목을 완전히 끝내겠다는 생각을 하는 학생들이 많다. 어느 한 과목을 하루 만에 다 외우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런 학생은 앞뒤 보지 않고 처음부터 무턱대고 암기하려고 한다. 그러나 전체 흐름의 파악과 내용에 대한 이해 없이 무엇을 암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하루 두세 과목을 동시에 공부하는 것이 생산적이다. 교과 내용을 무조건 외우려고 하지 말고 처음에는 핵심내용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그냥 읽어 나가야 한다. 이때 전체적인 흐름을 중시하면서 중요한 부분이나 암기해야 할 부분은 그냥 밑줄 정도만 쳐 둔다. 암기에 중점을 두지 않고 읽으면 진도가 빨라질 것이다. 그런 다음 다른 과목으로 넘어가서 같은 요령으로 공부한다. 이런 식으로 전 과목을 훑어보고 난 후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해서 읽으면 그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가 있다. 교과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고 중요한 부분에 표시가 돼 있다면 암기는 시험 전날에 다 할 수 있다.

◆요점학습을 피하라

요점과 급소를 따져 얕게 공부하는 것은 위험하다. 학교 시험은 정해진 좁은 범위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때로는 시험문제로서의 가치와 객관적 타당성 면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도 출제될 수 있다. 시험범위 안의 모든 내용을 철저히 공부해야 한다. '약삭빠른 고양이 밤눈 어둡다'는 사실을 상기하면서 우직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 내신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소위 '족보'라고 말하는 지난해 시험문제를 구하려는 학생들도 많다. 가벼운 마음으로 훑어보는 것은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학교들이 여기에 대비를 하고 있기 때문에 너무 믿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집중과 휴식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일반적으로 몰입과 휴식, 긴장과 이완 사이의 전환이 자유롭고 공부를 할 때는 폭발적인 집중력을 발휘한다. 한 과목을 붙잡고 장시간 오래 앉아 있다고 공부를 많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공부한 내용을 오래 기억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집중해서 공부하고 사이사이에 휴식을 잘 취하는 학생이 생활에 활력을 유지할 수 있고 건강하다. 다음 방법을 무더운 시험기간에 적용해 보면 학습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인터벌 학습

인터벌 학습이란 공부하는 사이사이에 알맞게 휴식을 취하는 학습법을 말하며, 휴식 후에 나타나는 학습 성과의 상승을 휴식효과라고 부른다. 일이나 공부를 계속해야 할 때 도중에 휴식을 하면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한자리 수의 가산작업을 반복해 할 경우, 도중에 휴식을 하면 휴식 후의 성과 상승은 놀랄 만하다. 어떻게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지 아직 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휴식을 취하면 몸과 마음의 긴장이 완화되고 휴식하고 있는 동안에 보다 좋은 방법을 생각해 내는 등과 같은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인터벌 학습과 연속학습을 비교하면 인터벌 학습이 휴식을 중간에 끼워 넣게 되므로 시간이 조금 더 많이 든다. 하지만 학습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는 데는 사이 휴식을 통한 분산학습이 더 효과적이다. 인터벌 학습으로 익힌 것은 좀처럼 잊혀지지 않는다. 연속학습으로 익힌 것은 학습이 끝난 직후에는 잘 기억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훨씬 많이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벼락치기로 공부한 것은 금방 잊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오래 기억하려면 인터벌 학습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인터벌 학습의 적용

사이에 휴식을 두는 인터벌 학습을 대학입시에는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은가. 어느 한 과목을 다섯 시간 계속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5시간 동안 3과목 정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목당 1시간 20분 정도 집중해서 공부하고 10~15분 정도 휴식하는 것이 좋다. 학습심리학에는 학습 기울기라는 것이 있다. 목표가 멀리 있을 때는 그다지 의욕이 내키지 않지만 가까워질수록 분발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마지막 분발(last spurt)을 하게 된다. 동일한 내용의 일을 계속할 때 처음 시작할 때의 의욕적 출발과 마지막 분발이 있고 목표가 보이게 되면 분발을 촉구해 단숨에 폭발력을 발휘할 때가 있다. 그러므로 인터벌 학습을 공부에 적용할 때는 먼저 학습 목표를 눈에 보이게 설정하고 그런 다음 처음 시작은 힘차게 하고 사이의 휴식이나 기분 전환을 거친 후 마지막에는 혼신의 힘을 다해 목표 달성을 위해 집중력을 발휘하는 학습을 하면 매우 효과가 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도움말·송원학원 진학지도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