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번에도 TK 색깔 없애기?…8월중 개각·靑 개편설

"인사 결과는 MB도 아직 모를 걸요." 8월 중 개각·청와대 개편설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인사의 규모와 방향에 대해 예상이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도 15일 브리핑에서 "인사에 대한 추측성 보도들이 많이 나오는데 현재로서 내각 및 청와대 개편에 관하여 어떤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며 추측 보도 자제를 요청했다. 모두 이번 인사와 관련한 방정식이 쉽게 풀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방증으로 들리는 말들이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해 보이는 것은 있다. 'TK(대구·경북) 색깔 없애기'다. 개각설이 확산되면서 정치권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는 총리 교체와 관련해서도 충청권 총리만 유력하게 거론될 뿐이다. 이완구 충남지사,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 이원종 전 충북지사,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TK가 들어설 자리는 잘 보이지 않는다.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가 한 때 물망에 올랐지만 수면 아래로 잠긴 지 오래다. 또 새로 입각할 인사에 대해서도 PK(부산·경남) 출신인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은 정무장관, 허태열 위원은 행정안전부 장관, 이방호 전 사무총장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정의화 의원은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지만 TK 출신은 권오을 전 의원과 최경환 의원 정도만 정무장관,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로 거명될 정도다.

이와 함께 이명박 출범과 함께 청와대에 입성한 TK 출신 참모진들도 집권 2년차에 들어오면서 상당수가 교체됐거나 비인기 부서로 밀려나고 있다. 현재도 9명인 수석급 중에서는 TK 출신이 한 명도 없지만 특히 인사 관련 부서의 경우 'TK 배제' 분위기다. 새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이도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다.

이 같은 '지역 역차별'은 앞서 검찰총장과 국세청장 인사에서 충청권이 중용되면서 이미 확인됐다. '이명박 정부=TK정권'이란 일부 중앙 여론의 시각에 부담을 느낀 권력 핵심이 '지역 대립구도'를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TK 거리 두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정지역 출신 총리 발탁설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따른 민심 이반 수습과 함께 다가오는 10월 재·보선 및 내년 지방선거 등을 감안한 포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른바 범보수 대연합으로 '레임 덕 위기'를 정면 돌파하고 정권 재창출 기반까지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국정을 이끌어가는 청와대와 정부 고위 인사 교체가 능력 대신 특정 지역 안배와 정치적 계산이라는 잣대를 통해서 결정된다면 또 다른 인사 부실 논란을 부를 것으로 우려된다.

이상헌기자 dav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