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형 준
空中이란 말
참 좋지요
중심이 비어서
새들이
꽉 찬
저곳
그대와
그 안에서
방을 들이고
아이를 낳고
냄새를 피웠으면
空中이라는
말
뼛속이 비어서
하늘 끝까지
날아가는
새떼
빈 것에 대한 시인의 시선은 대체로 경이롭다. 박형준은 그러한 경이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서 빈 것을 생활 근처로 끌어당겼다. 빈 곳은 우선 새들의 공간이다. 공간의 상상력은 자유와 가장 밀접한데, 시인은 그 무한공간에서의 살림을 생각한다. 다정이란 말이 떠오른다. 다시 빈 공간은 자연의 뼛속이란 상징계를 만든다. 뼛속이란 말 그대로 그곳은 시리고 아픈 몸의 공간이다. 그 공간은 새떼의 뼛속이기도 하고, 뼛속의 새떼이기도 하다. 전자와 후자는 서로 순환하고 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