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이 유치에 공을 들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立地)가 세종시로 굳어졌다. 정부가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의 건의 형식으로 세종시에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하기로 사실상 확정한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대선 공약인 과학비즈니스벨트는 2015년까지 200만㎡의 터에 3조5천억 원을 쏟아붓는 대형 국책 사업이다. 20년 동안 생산 212조 원, 고용 136만 명을 유발하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견되는 사업이다. 엄청난 파급 효과에다 김천-구미-대구-포항을 잇는 산업벨트 구축에 필요한 사업이어서 대구경북은 정부와 국회 등을 대상으로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에 동분서주했다. 하지만 공모 절차도 거치지 않고 이 사업 입지가 세종시로 정해짐에 따라 대구경북은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되고 말았다.
국민과의 대화에서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으로 다른 지역에 피해를 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게 며칠 전이다. 그 여운이 채 사라지기도 전에 대구경북이 미래 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심혈을 기울인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가 세종시로 인해 좌초하고 만 것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가 들어서는 세종시는 교육과 과학이 중심이 되는 경제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세종시를 중심으로 대전-오송-오창을 연계하는 과학 밸리를 만든다는 게 이 정부의 구상이다. 의료단지 조성, 가속기 클러스터 구축 같은 프로젝트들을 추진하는 대구경북과 번번이 부닥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지역으로서는 수도권에 이어 세종시를 필두로 한 충청권이란 또 다른 경쟁자를 만난 것이다. 정부는 다른 지역에 있거나 갈 기업, 기관, 연구소 등을 세종시로 가져가지 않겠다고 했지만 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보듯 세종시가 블랙홀이 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종시 수정으로 인한 피해가 점차 현실로 닥치는 비상(非常) 상황인 만큼 대구경북은 지혜와 결단을 발휘하고 보여줘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