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겨울나기/달성공원 동물원]동물들의 월동 현대화

사람들만 겨울나기를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동물들도 채비를 해야 한다. 야생동물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나름대로 월동준비를 하지만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동물은 사람이 겨울나기를 도와주어야 한다. 대구를 대표하는 달성공원 동물원의 겨울나기를 들여다 보았다.

달성공원 동물원은 1970년 개원했다. 12만6천576㎡(3만8천289평)의 달성공원에는 현재 호랑이 등 포유류 24종 81마리, 타조 등 조류 51종 330마리, 비단잉어 940마리, 수리부엉이 등 천연기념물 10종 28마리 등 총 1천379마리의 동물가족이 살고 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월동준비에는 사람 손이 많이 갔다. 겨울을 앞두고 짚으로 이엉을 엮어 우리 지붕을 덮어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5, 6년 전 시설현대화가 이뤄지면서 이엉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월동준비는 한결 편해졌다.

현재 달성공원 동물원의 겨울나기는 난방과 사료 구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사슴, 곰, 조류 등은 추위 적응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별도 난방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열대지방에서 온 코끼리, 침팬지, 원숭이 등은 난방이 필수다.

난방은 전기난로 또는 기름보일러를 통해 한다. 늑대'은여우'오소리 등 10종류의 동물이 있는 늑대사를 비롯해 사자사, 호랑이사, 얼룩말사, 원숭이사에는 전기난로가 설치되어 있고 코끼리사, 침팬지사에는 기름보일러가 가동된다.

특히 코끼리와 침팬지는 유난히 추위에 약해 동물원에서 가장 신경쓰는 동물이다. 코끼리의 경우 조금만 추워도 눈에 이물질이 끼는 등 금방 표가 나기 때문에 동장군이 맹위를 떨치면 우리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다.

난방온도는 18~20도를 유지시킨다.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 밤에는 직원들이 수시로 온도를 점검한다. 기름보일러 난방에만 1년에 2천만~3천만원이 소요된다.

사료는 동물들이 건강한 겨울을 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 달성공원은 매년 1월 1년치 사료를 전자입찰을 통해 일괄 구입한다. 사료로 사용되는 농'축산물은 40여종으로 사람이 먹을 수 있을 만큼 신선하다. 계절에 따라 섭취량에 다소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소비되는 사료량은 비슷하다.

달성공원 동물원들이 하루에 먹어 치우는 사료량은 평균 360kg. 돈으로 환산하면 43만원 정도다. 1년에 사료값으로 평균 1억6천만~1억7천만원 정도가 들어간다.

동물들의 운동량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특별히 건강식을 챙겨 주어야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하지만 곰은 예외다. 야생 상태에서 곰은 겨울이 오면 동면에 들어간다. 그러나 동물원 곰은 겨울잠을 자지 않고 겨울 동안에도 활동을 하기 때문에 영양보충이 필요하다. 겨울철 곰 사료에는 쇠고기가 추가되는 것이 특징이다.

손영구 동물사료 관리 및 업무 담당자는 "추위에 약한 동물의 경우 겨울에는 우리 밖으로 나오는 날이 줄어 들고 낮에는 햇볕이 드는 양지에 주로 있다"며 "겨울나기에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병에 걸리지 않도록 우리 안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동면·따뜻한 곳 찾아 이동·깃털 갈아입기…

야생동물들은 어떤 방법으로 겨울을 날까.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동면이다. 동면의 종류에는 개구리형, 곰형, 박쥐형 등이 있다. 개구리의 경우 깊은 곳 등 온도 변화가 심하지 않는 장소를 찾아 겨울잠을 잔다.

곰은 빈 나무둥치, 굴 속에서 동면을 한다. 곰은 음식을 많이 섭취해 몸에 지방을 축적한 뒤 겨울잠을 자는 동안 이를 소비한다. 박쥐는 동면 중 월동장소 온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위가 닥쳤을 때 따뜻한 곳을 찾아 이동하는 것도 겨울나기의 한 방법이다. 북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은 보통 고위도지역에서 여름을 보내다 겨울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온다.

사시사철 한 지역에서 사는 텃새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겨울을 보낸다. 겨울이 오기 전 부지런히 먹이를 저장해 두거나 새 깃털로 갈아 입기도 한다. 또 드물기는 하지만 동면을 하는 새도 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사진·안상호 편집위원 shah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