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물자재활용 유통사업소((DRMO:Defence Reutilization and Marketing Office·미군 폐품처리장)의 김천 이전을 앞두고, 김천YMCA 등 시민단체가 수질·토양 등 환경오염을 우려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 폐품처리장(DRMO)은 인천 부평구 신곡동과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의 기존 시설을 폐쇄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이 시설은 주한 미군에서 사용한 후 재활용이 가능한 물자를 수집해 다른 부대로 재분배하거나 경매절차를 거쳐 국내에 매각하는 미 국방부 직할기관이다.
김천시 등에 따르면 시와 국방부가 2005년 3월 김천시 아포면 국사리 일대 9만9천여㎡에 DRMO의 이전·건립에 대한 협약을 체결, 한 차례 부지 확장으로 10만5천여㎡ 터에 지난해 4월 말 8개동의 시설물에 대한 공사를 마쳤다. 이 시설물에 부산에 이어 올해 인천의 시설까지 이전을 마무리한다는 것.
이에 대해 김천 YMCA 등 시민단체들은 지하수·토양오염·사고 가능성 등을 들어 DRMO 이전을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김천 YMCA는 8일 성명서를 내고 "부산에 이어 인천 부평에 있는 DRMO시설까지 이전될 경우 김천이 미군부대 재활용 쓰레기장으로 전락하게 된다"며 "부산과 일본 등지 사례에서 볼 때도 환경오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부산 개금동 DRMO는 지난 2006년 초 부산 수정터널과 백양터널 연결도로 공사 과정에서 나온 엄청난 양의 포탄을 처리했는데, 당시 폭발 위험성과 토양 오염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왔다. 또 일본의 미군 DRMO 시설에서는 백혈병의 원인이 되는 전압기 절전체를 수년간 쌓아놓은 사실이 밝혀져 사회문제화되기도 했다.
김천 YMCA 김영민 총장은 "다른 도시에서는 이미 들어서 있는 미군부대도 지역발전에 저해된다며 이전하라고 요구하는 마당에 시가 나서 DRMO를 유치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범시민 반대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과는 달리 미군부대에서 이뤄지는 일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고 국내법 적용을 받지 않아 위험성이 훨씬 크다. 주한 미군의 폐품이 김천으로 몰려들면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김천시 관계자는 "DRMO 유치는 정부가 주변지역에 대한 각종 주민편의시설을 제공키로 하고 기반시설 확충에 200억원을 지원, 지역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 유치 결정을 했다"며 "당시 주민들이 부산에 있는 DRMO 시설까지 방문했지만 적극적인 주민 반대가 없었는데 최근 인천 부평에 있는 DRMO까지 이전한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부터 시민단체 등에서 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시민단체 등에서 미군 DRMO 시설에 대한 정보공개를 수차례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 등 미군 시설물에 대한 관련 정보는 전혀 노출되지 않고 있다.
김천·박용우기자 yw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