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제의 미래 견인차로 불리는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한 우려의 커지고 있다.
대구시가 1년 넘게 러브콜을 보낸 삼성 바이오시밀러 사업과 SK케미칼 백신공장 유치가 잇따라 실패한데다 기업 유치의 전제조건인 땅값 인하도 정부의 난색으로 쉽지 않은 때문이다.
지역 경제계 인사들은 각개전투 양상의 지역 투자유치 조직을 통합하고 기업이 원하는 투자 인프리 구축 등 기업 유치 전략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의료단지 대기업 유치 빨간불
사업비 5조6천억원의 첨단복합의료단지 조성은 대구경북 신성장동력의 핵심 프로젝트. 대구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 내 103만㎡에 신약·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등 연구·개발 지원 시설과 생산 시설 및 벤처타운을 짓는다. 대구시는 생산유발 76조원, 부가가치유발 40조원, 고용유발 82만 명의 매머드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가 의료단지 성공을 위해 접촉한 2개 대기업이 잇따라 지역을 외면했다. 지난해 말 SK케미칼의 국내 최대 백신공장(투자규모 1천195억원)을 경북 안동이 가져간 데 이어 삼성전자 바이오시밀러 사업(투자규모 3조원) 역시 인천으로 넘어갔다. 2009년 8월 보건복지부의 대구의료단지 지정 당시 대구시의회 유치특별위원장을 지낸 양명모 의원은 "삼성 유치에 실패한 대구시가 공항 핑계를 대고 있다. 변명에 불과하다. 그럼 SK는 왜 안동을 선택했나. 대구가 안동보다 못한 도시가 됐다"며 "대기업 유치 실패는 시의 무능과 의지 부족이 빚은 결과"라고 비판했다.
지역 정치·경제계는 삼성전자가 바이오시밀러 사업 부지로 인천을 선택함에 따라 삼성전자 '헬스케어' 사업 대구 유치 역시 낙관할 수 없는 처지에 빠졌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는 헬스케어 분야를 핵심 신수종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비전 아래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메디슨을 인수했다. 앞서 메디슨은 대구시와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투자유치 양해각서(MOU)를 체결, 대구 유치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그러나 번번이 삼성 유치에 실패한 시는 이번 헬스케어 '협의'에서도 별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시는 삼성이 메디슨 인수절차를 마무리하는 대로 메디슨과 체결한 '대구경북의료단지 생산시설 및 연구시설 투자약속'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었으나 삼성 측은 여태 이렇다 할 대답이 없다.
시가 삼성을 비롯한 대기업 유치를 낙관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는 비싼 '땅값'이다. 대구의료단지의 3.3㎡당 조성원가는 236만원. 경쟁 관계의 충북 오송(50만원대)과 비교해 5배 가까이 비싸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지난해 대통령 주재 시장·도지사회의에서 "의료단지에 (대)기업이 오려면 분양가는 100만∼150만원대가 돼야 한다"며 땅값 인하를 건의한 바 있다. 이후 시는 단지 조성 사업자(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2천여억원을 지원해 땅값을 인하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으나 2011년 정부 예산에 단 한 푼도 반영되지 못했다. 다만 시가 의료단지 기반시설비로 요청한 645억원은 '현재 진행형'이다.
◆의료단지 내실화가 우선
시는 대기업 유치 실패에 대해 "대기업 입장에서 의료산업 인프라가 미약한 대구에 선뜻 투자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며 "대기업 유치에 당장 성과를 기대하기보다 인프라부터 먼저 갖춰 나가야 한다"고 해명했다.
물론 지난 1년간 시는 나름 성과도 거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의 대구의료단지 분원 및 사무소 설립을 이끌어냈다.
20여 개 의료기기 또는 신약 관련 기업과 투자 협력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시는 "첨단의료산업 분야는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며 "후발 주자로서 대구의 차별화된 비전을 마련하는 것 역시 큰 과제"라고 거듭 밝혔다.
그러나 의료단지의 가장 큰 목표가 제약·의료기기 산업화를 통한 지역 신성장동력 창출이라는 점에서 대기업 유치가 의료단지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라는 사실엔 이견이 없다.
양명모 의원은 "내실화와 함께 대기업 유치 실패에 따른 시 조직 재정비가 시급하다"며 "행정직이 독점한 대구시 기업 유치 조직에 기업 정서를 잘 아는 전문가를 배치하는 한편 대구시 투자유치단, 경제자유구역청 등 뿔뿔이 흩어져 있는 유치 기관을 통합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