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교육청, 학교 시설물 내진 보강사업 확대

2014년까지 26개교에 135억 투입

16일 대구 동구 방촌동 동촌중학교 건물 벽면에 지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내진 구조물이 설치돼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비상시 대피공간으로 활용되는 대구지역 학교 건물 924동 중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130동(14.1%)에 불과하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16일 대구 동구 방촌동 동촌중학교 건물 벽면에 지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내진 구조물이 설치돼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비상시 대피공간으로 활용되는 대구지역 학교 건물 924동 중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130동(14.1%)에 불과하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대구시교육청은 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 사태를 계기로 학교 시설물에 대한 내진 보강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시설은 많은 학생이 이용하는 데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경우 대피시설로 활용되기 때문에 2009년부터 내진등급을'1'에서 발전소, 공용 청사와 같은'특'등급 적용을 받는 곳.

이는 지진 규모 6.5에도 안전한 구조로 분류된다. 시교육청은 올해 대성초교, 대구공고 등 8개 학교에 41억2천만원을 투입하는 등 2014년까지 26개 학교에 135억원을 들여 내진 보강 사업을 벌인다.

이 사업은 2005년 건축법 개정 이전 지어진 비내진 시설에 대해 내진 성능을 평가한 뒤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 강도나 변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개정 건축법은 3층 이상 또는 연면적 1천㎡ 이상 건축물을 내진 설계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지난해 동촌중학교(사진)에서 처음 사업을 완료했다.

현재 건물 924동 가운데 비내진 건물은 794동(85.9%). 시교육청은 이 사업이 완료되기까지 1천856억4천만원이 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7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한나라당) 의원실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각 교육청 가운데 서울, 인천, 광주, 전북, 전남교육청은 학교 시설물 내진 사업 예산을 아예 편성하지 않았고 경기, 충북은 예산을 최대 90%까지 축소했다. 반면 대구(41억2천만원), 경북(69억7천만원), 울산(15억원), 충남(27억5천만원), 제주(11억7천만원), 강원(31억3천만원), 부산(26억원), 대전교육청(10억원) 등 8곳은 내진 관련 예산을 책정했다.

대구시교육청 교육시설과 박종길 과장은 "지난달부터 내진구조 전공 대학 교수 3명과 건축구조기술사 2명으로 구성된 내진자문협의회를 운영 중"이라며 "내진 보강에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데 자체 예산만으로는 쉽지 않아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