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정부는 일본 원전 사태 대비책 서둘러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로 방사능 오염의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다. 원전 반경 20~30㎞ 내의 방사능이 기준치의 6천 배에 이르자 사태를 우려한 외국인들이 서둘러 일본을 빠져나오는 등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 피해 확산을 막으려는 각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현재 일각에서 '원전 괴담'까지 떠돌면서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 불가능하고 심각한 양상으로 발전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어서다. 각국 정부가 자국민 보호와 방사능 오염 확산을 막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취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적극 나선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16일 회원국에 일본산 식료품 등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권고했다. 미국도 일본산 식품류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 화산재예보센터(VAAC)가 16일 일본과 한국, 중국 등의 상공에서 방사능 위험 가능성이 있다고 공식 경보를 발령하자 각국 항공사들이 도쿄 운항 중단과 노선 변경 조치를 취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70만 명의 교민과 유학생이 머물고 있고, 바로 인접한 우리 입장에서는 정부의 비상한 대책이 요구된다. 정부는 일본 사태가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내 원전의 안전성 점검 등 만반의 대비책을 세워 관련 조치들을 적극 취해 나가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16일 국내 21개 원전에 대해 종합 안전 점검을 지시한 것은 시의 적절한 조치다. 무엇보다 일본 원전 사태의 악영향을 사전에 차단하는데 초점을 모으고 유사시 대처 요령을 국민에게 적극 알리는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지나친 불안감도 문제지만 상황을 안이하게 판단하다 뒤늦게 부산 떠는 일이 없도록 미리 대비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