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나로호 발사 실패 조사, 너무 길어지지 말아야

한국의 첫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 2차 발사의 실패 책임을 둘러싸고 1년째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 러시아 연구팀이 실패 원인에 대한 논란을 벌이고 있는 데 이어 국내 전문가들로 구성된 나로호발사조사위원회는 최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의 책임 쪽으로 결론을 모았다. 항우연이 제작한 2단 고체 로켓의 비행 종단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항우연 측은 조사위의 결론이 잘못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나로호는 2009년 8월 1차 발사가 실패한 데 이어 지난해 6월 10일 2차 발사됐으나 137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다. 조사위는 2단 고체 로켓(킥모터)의 비행 종단 시스템이 비상 상황이 아닌데도 작동됐고 그 결과 킥모터에 심어 놓은 화약이 터져 공중 폭발했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항우연 측은 킥모터에 달려 있는 화약 외에 고체 연료에 대한 기폭 실험 결과 흰 연기가 많이 발생하나 실제 발사 때 연기가 그 이상 피어오르지 않았다며 반발 근거를 대고 있다.

문제는 폭발 잔해물을 수거하지 못한 데다 폭발 전까지 2분여 동안의 데이터만으로는 실패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이나 러시아가 2차 발사 실패의 책임을 인정할 경우 3차 발사 때 거액의 비용을 부담하는 문제와도 연결된다. 양국 간 이해관계와 맞물려 기술적 이견이 길어질 경우 내년 6월이나 8월쯤으로 예정된 3차 발사 일정에도 차질을 줄 수 있다.

주무 부서인 교육과학기술부는 국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자 가칭 '한러독립조사위원회'를 꾸려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3차 발사 일정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정확한 원인 조사가 이뤄져야 하지만 시간을 마냥 끌 수도 없는 사안이다. 우주 강국의 꿈을 실현할 나로호 발사 성공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상황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