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린 이래서 모였다] 심인고 축구모임 '한맥회'

고1때 축구악동 11명이 결성…공처럼 '모없는 의리' 30년째

하계 총회 때 한맥회 회원들이 물가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며 동문 간 우의와 친목을 다지고 있다. 한맥회 제공
하계 총회 때 한맥회 회원들이 물가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며 동문 간 우의와 친목을 다지고 있다. 한맥회 제공
장맛비가 내리는 가운데 한맥회 회원들이 풋살구장에서 운동을 하기 전
장맛비가 내리는 가운데 한맥회 회원들이 풋살구장에서 운동을 하기 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한맥회 제공

이달 9일 대구시 수성구 수성못 옆 수성첼시풋살구장. 흰 상의에 푸른색 반바지 유니폼을 입은 30, 40대 10여 명이 장맛비 속에서 공을 차고 있었다. 이날은 30년째 축구를 통해 우의와 건강을 다지고 있는 심인고등학교 동문들의 축구모임인 '한맥회' 회원들이 매월 둘째 주 토요일마다 갖는 정기모임이 있는 날이다. '영원토록 큰 맥을 이어가자'는 의미를 담은 한맥회의 기원은 1981년 심인고 1학년 6반 교실에서 유난히 축구를 좋아하던 11명이 만들었다.

한맥회 이병삼(25회'46'울산지방법원 부장판사) 회장은 "교내체육대회 때 우리 반이 우승을 목표로 열심히 준비했지만 4강에 그치고 말았는데 대회가 끝난 뒤 많은 아쉬움과 허탈함이 남아 우리끼리 교내 축구팀을 만들게 됐다. 이후 인근 학교와 친선 경기 및 자체 경기를 하면서 친목을 다져 나가게 된 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후배들을 받기로 하고 1983년 1학년을 대상으로 2기 축구부원을 모집하면서 한맥회가 본격 결성됐다. 1기부터 올해 고등학교 1학년인 30기까지 모두 250여 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다.

강현구(28회'43'상원중학교 교사) 총무는 "회원들은 전국적으로 흩어져 사회 각계각층에서 성실히 자신의 직분을 수행하면서도 정기모임에 평균 20여 명의 회원이 나와 우의와 건강을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맥회는 매년 1월 동계 총회와 7월 하계 총회 및 4월과 10월 춘'추계 체육대회를 갖고 있다. 또 모임의 규모가 커지면서 1기에서 6기까지는 별도로 '한맥OB회'를 구성해 운동을 하고 있다.

이 회장은 "한맥회는 운동과 친목 도모를 위해 구성됐기 때문에 굳이 공식대회에는 나가지 않고 자신의 체력에 맞게끔 뛰고 나면 그뿐"이라며 "바쁜 사회생활 중에서 축구 그 자체를 즐기며 함께 뛴 후배들과 뒤풀이를 통해 좋은 관계를 맺어나가는 게 무엇보다 좋고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고교시절부터 해온 축구 덕분에 체중 관리가 잘되고 있고 업무에도 도움이 된다"고 축구 예찬론을 폈다.

한맥회 회원 중에 별도로 조기축구회에 가입해 활동하는 열성 축구팬들도 많다.

강 총무는 "운동하는 순간은 모두가 즐겁죠. 일상에서 오는 짜증도 해소하고 또 공에 정신을 집중하다 보면 승패를 떠나 스트레스를 훨훨 날려버릴 수 있다"고 했다. 한맥회 회원들의 유니폼 넘버는 모두가 고교졸업 기수로 표기돼 있다.

선후배 간 친목을 도모해 온 한맥회이지만 30년 동안 모임이 지속되면서 많은 에피소드를 낳았다. 1988년 하계 총회 때의 일. 행사를 마치고 저녁식사를 위해 식당으로 이동하던 중, 재학생 후배들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3학년들이 후배들을 집합시켜 얼차려를 주고 있었다는 것. 이에 사회 선배들이 한맥회의 취지를 다시 상기시켜 준 뒤로는 이 같은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게 됐다.

강 총무는 "한맥회가 월 1회 정기모임을 하고 있지만 혈기왕성한 후배 기수들은 한 달에 한 번으론 너무 아쉽다. 만남의 횟수를 늘리자는 목소리가 많다"고 귀띔했다.

한맥회는 2013년 30주년 행사를 앞두고 있다. 회원 가족들도 초청해 고교동문의 인연과 축구사랑을 더해 '한맥회'의 이름을 더욱 빛내려고 하고 있다.

강 총무는 "지난해 월드컵 주경기장을 대여해 볼 요량으로 관계자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부정적인 답을 들었다"며 "주경기장이 안 되면 보조경기장이라도 빌려볼 생각"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한맥회의 역사가 30여 년이 된 만큼 모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학사업도 구상 중"이라고 했다.

우문기기자 pody2@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