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日 독도도발 대응 '조용,조용하게'

"큰 소리 내 이슈화되면 분쟁지역화 꼼수 말려 신중한 접근이 이득"

일본 자민당 '영토에 관한 특명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울릉도를 방문하겠다며 도발 자세를 취하자 정부와 여권의 대응에 주문이 많다. '조용한 외교'가 답이라는 것이다. 일부 정치권에서 주장하는 큰 소리로 떠드는 '고성외교'는 분쟁지역화 하려는 일본 측의 의도에 말려드는 저급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많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외무상을 만난 자리에서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은 한일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신중하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일본 측은 "국내 사정이 있다"고 답하고 더는 언급은 자제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정치권에서는 강경하게 맞서자는 측과 신중하게 응대하자는 측으로 나뉘고 있다.

신중론에는 한나라당 원희룡 최고위원이 나섰다. 원 최고위원은 24일 "입국을 막기보다는 집권 여당으로서 독도 주권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일본 의원들에게 설명하고, 필요하면 우리(정치권)가 나서 안내하면서 공개토론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일본의 비이성적 행동에 우리는 이성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자는 주장이다. 시민단체들의 우발적 행동도 우리가 나서서 자제시켜 '불상사' 발생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는 주문도 잇따르고 있다.

강경 대응 쪽 선봉에는 8월 중 국무위원 사임과 한나라당 복귀가 점쳐지는 이재오 특임장관이 섰다. 이 장관은 24일 "독도 문제는 1965년 한일협정을 맺을 때부터 꼬였다. 이제는 잘못을 바로잡을 때가 됐다"며 국가 간에 영토 다툼이 있는데 어떻게 조용하게 대응하느냐. 조용한 외교 때문에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반복돼 왔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장관은 이달 31일부터 4박5일간 독도와 울릉도를 직접 방문해 일본 자민당 의원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앞서 28일에는 시민단체 주최로 서울 청계천광장에서 열리는 집회에도 참석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강경 대응은 오히려 일본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라는 해석이 더 많다. 무관심한 반응을 보이면서 적절하게 대응해 독도를 방문하는 일본 의원들에게 "독도는 우리 땅인데 잘 지키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 노이즈 마케팅에 휘말릴 필요가 없다는 논리다.

한편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한나라당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은 일본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을 자제해줄 것을 민주당 와타나베 고조 일한의원연맹 회장과 모리 요시로(자민당) 전 회장 측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