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영업자 100원 벌면 21원 빚갚아…금융부채 급증

자영업자들이 금융 부채 급증에 따라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있고 제 살 깎기 경쟁 심화로 빈곤화 위험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자영업자의 경상소득은 5천48만원, 원리금 상환액은 1천82만원으로 조사됐다.

100원을 벌면 21원은 빚을 갚는 데 지출한 것으로, 지난해 16원보다 더 나빠졌다. 올해 자영업자 부채는 8천455만원으로 지난해 7천132만원보다 18.6%나 급증한 때문이다.

금융대출이 지난해보다 22.6% 증가한 가운데 신용대출은 30.6%나 급증했다. 자영업자들은 신용대출 배경에 대해 '사업자금을 마련'(58.8%)하거나 '생활비를 마련'(9.8%)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부채 급증에 따라 자영업자의 재무건전성은 임시 일용근로자보다 더 악화되고 있다.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9.5%로 지난해보다 1.4% 포인트 올라 임시 일용근로자(0.6% 포인트)의 배 넘게 증가한 것.

자영업자의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 역시 159.2%로 지난해 대비 14.1% 포인트나 급등했다.

여기에 자영업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제 살 깎기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통계청 고용 동향에 따르면 10월 기준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전년 대비 10만7천 명(1.9%)이나 급증했다.

2006년 5월 이후 꾸준히 감소해 온 자영업자는 지난 8월 이후 64개월 만에 증가세(5만4천 명)로 전환한 뒤 9월 8만8천 명, 10월 10만7천 명으로 점점 증가 폭이 커지고 있다.

내년부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자영업자 수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정된 시장에서 경쟁업체가 급증할 경우 제 살 깎기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50대 이상 연령층의 소규모 자영업체가 줄도산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상반기 기준 5인 미만 사업체의 55.7%가 50대 이상 자영업자로 2008년 상반기 53.4%보다 2.3% 포인트나 증가한 데다 50대 영세 자영업자 대다수가 도소매업과 건설업, 운수업, 개인서비스업 등 전통적 생계형 창업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