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 '논현동 사저 복귀' 놓고 고심

靑 '논현동 사저 복귀' 놓고 고심

이명박 대통령 퇴임 후에 기존 논현동 자택으로 복귀해 거주하는 문제를 놓고 청와대가 고민에 빠졌다.

청와대는 지난달 17일 내곡동 사저 신축 계획을 백지화하고 이 대통령 내외가 퇴임 후에 논현동 자택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청와대는 '논현동 복귀'를 최우선 시나리오로 상정하고 퇴임 후 사저 마련 계획을 진행해왔지만, 논현동 자택의 경우 경호를 위한 주변 부지매입이 여전히 어렵다는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만의 하나 논현동 복귀가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제3의 대안을 함께 모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논현동 사저 마련을 위한 여러가지 협의를 진행하고 있긴 하지만 협의가 성공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플랜 B'를 함께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박정하 대변인은 28일 브리핑에서 "논현동 사저가 1차적 고려 대상이고 실무적으로도 많이 접근해 있다"면서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이런 저런 문제를 검토해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논현동 복귀를 '0순위'로 검토하는 상황은 내곡동 이전계획을 백지화할 때부터 지금까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논현동 복귀에 무게를 크게 둔 채 서울 강북과 경기도 등에 적합한 사저 부지가 있는지도 함께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아직 검토 대상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한다.

논현동 자택을 퇴임후 사저로 사용하려면 관련 법규에 따라 경호 근접시설과 대기 시설 등을 지어야 하는데, 해당 지역의 땅값이 워낙 비싼데다 주거 밀집 지역이어서 부지 매입이 쉽지 않다.

만약 주변 부지 매입에 실패할 경우 사저 안에 경호 근접시설을 짓고 대기 시설은 조금 떨어진 곳에 짓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고 한다.

내부에서는 주변에 자택보다 높은 건물들이 있어 경호가 어려운 점을 문제 삼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늦어도 연말 이전에 퇴임후 사저 마련 계획을 확정짓겠다는 복안이어서 언제쯤 어떤 결론이 나올지 주목된다.

한 참모는 "논현동 복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면 최대한 빨리 결론을 내야 한다는 것을 잘 알지만 내부에서도 의견이 너무 많아 정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