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욕장은 폐쇄되고 요금은 더 물어야 하고 어떻게 이런 경우가 있습니까. 잘 먹고 잘 살자고 하는 것인데, 시민들에게 경제적 고통을 주는 투자 유치로 전락한 것 아닙니까. 일부 시의원은 시민 입장보다 투자기업의 대변자로 나서 시민들에게는 고통을 감수하라고 하니 기가 막히네요. 도대체 어느 나라 시의원입니까?"(영주 노인회원)
"수도요금에도 못 미치는 온천수 가격 특혜는 있을 수 없습니다. 시민들은 수돗물값으로 가정용 1t당 510원, 일반용 900원, 대중탕용 720원을 물고 있는데 투자기업에 공급하는 온천수는 500원이라니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영주시민)
12일 영주시 노인회 회원 50여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특혜 논란(본지 9일자 5면 보도)을 빚은 영주시 온천수 급수 조례 일부 개정안이 영주시의회 본회의에서 원안대로 통과되자, 노인회원들과 시민들이 분통을 터뜨렸다.
권오엽(76) 안정면 노인회장은 "한 달에 한 번 하는 온천 목욕도 앞으로는 못하게 생겼다"며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데 자식들한테까지 손 벌려가며 목욕해야 되는 신세가 됐다. 멀쩡한 시욕장을 없애고 지역민들이 누릴 최소한의 복지마저 말살하는 투자유치가 누굴 위한 투자유치냐"고 시의회 조례 통과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풍기읍의 한 노인은 "시민들의 권익을 챙기지 못하고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시의원들은 이번 기회에 시민의 힘으로 제재를 가해야 한다"며 "기업은 이익을 위해 앞으로 무슨 핑계를 대서라도 목욕 요금을 더 올릴 것이다. 시의원들은 기업의 대변자로 나선 이유를 밝혀야 된다"고 질타했다.
이날 토론에 나선 A의원은 "투자기업에 가장 큰 혜택을 주는 것은 시가 운영해 오던 시욕장을 없애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의 피해는 연간 6억여원에 달한다. 투자기업에 특혜를 줘 결국 지역민들만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B의원은 "200억원이나 투자한 기업이 손익분기점을 맞추기까지 요금을 어떻게 하라고 할 수는 없다. 투자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이 일정부분 피해를 감수해야 된다"고 투자기업의 손을 들어줬다.
이날 개정 조례안 찬반투표에서는 시의원 8명이 찬성했고, 5명이 반대했다.
지난 2002년 개장한 풍기온천 시욕장은 약 10년간 지역민들과 관광객들의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아 오다 이번에 사라지게 됐으며, 영주시는 온천공만 관리하게 됐다.
주민 김모(52) 씨는 "투자기업에 혜택을 주는 것도 좋지만 지역민들에게 고통을 줘서야 되겠느냐"며 "기업에 특혜를 주면서 주민들에게는 고통을 주는 꼴"이라고 했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