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가 발표한 '헬스 데이터(Health Data) 2007' 중 음주 관련 지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주류 소비 수준은 OECD 30개국 중 22위에 해당한다. 또 우리나라의 1인당 음주량은 8.1ℓ로 OECD 국가 평균인 9.5ℓ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폭음하는 비율은 매우 높은 편이다. 게다가 음주에 대해 지나치게 관대한 경향이 있다. 직장생활을 하려면 술은 마실 줄 알아야 하고, 남자라면 술을 잘 먹는 게 자랑할 만한 일이 되는 게 우리나라의 문화다. 특히 모임과 행사가 많은 연말에는 음주로 인한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이럴 때일수록 건강을 해치지 않는 음주에 대해 실천이 필요하다.
◆음주 반복되면 건강에 치명적
적절한 음주량은 65세 미만 성인 남자의 경우 일주일에 평균 14잔 이하, 1회 최대 음주량 4잔 이하이다. 여성이나 65세 이상은 그 절반 정도다. 표준 한 잔은 알코올 12g에 해당하는 양으로, 맥주 340㏄, 포도주 140㏄, 소주 70㏄, 양주 40㏄가량이며 각 술의 종류에 맞는 술잔으로 한 잔에 해당한다. 캔 맥주는 한 캔, 알코올 함유량이 21%인 소주는 보통 크기의 소주잔으로 1.5잔 정도다. 그 이상이면 과음 또는 폭음이다.
이렇게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음주량은 결코 적지 않은 셈이다.
장기적인 과음은 관상동맥질환, 부정맥 등의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간경화, 치매 등의 위험을 높인다. 암의 경우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간암을 10~12배 이상,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위험도 1.2~3.5배 높인다.
나이가 들면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져 주량도 줄게 된다. 50대의 주량이 30, 40대 때보다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주량이 줄었다고 해서 곧 간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병이 생겼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음주량을 줄이는 것이 현명하다.
◆물 많이 마시고 폭탄주 피하고
일정량의 술을 마신 뒤엔 충분한 시간이 지나기 전까지 숙취를 완전히 없애는 방법은 없다. 숙취는 알코올이 분해될 때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독성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자율신경계통에 강한 영향을 미쳐 구역질, 구토, 과호흡, 기면, 혈관 확장, 빈맥, 저혈압 등을 일으킨다. 시중에 판매되는 술 깨는 약이나 숙취방지 약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을 도와주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그런 효과가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것만큼 큰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연말 송년회에 시달린 후 빨리 술에서 깨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알코올은 그 자체로 이뇨작용을 일으키고, 알코올을 분해하는 데는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혈액으로 흡수된 알코올은 분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술을 마실 때 알코올이 덜 흡수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섭취한 알코올의 20%는 위 점막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천천히 마셔서 위 배출 시간을 늦추거나 음식을 함께 먹어서 위의 알코올 농도를 희석시키는 것이 좋다. 도수가 높은 술일수록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폭탄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
음주 후 사우나는 기분은 개운하게 할 수 있지만, 술을 깨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알코올을 분해하는데 충분한 수분이 필요한데 사우나 과정에서 땀을 많이 흘리면 탈수가 매우 심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실신을 하기도 한다. 음주 후 사우나는 오히려 위험하다.
콩나물이나 북어 등은 경험적으로 해장국 재료로 많이 쓰이며 포함된 성분이 알코올 분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효과가 증명된 것은 아니다. 단지 과음 후의 불편한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뿐이다.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자료제공=한국건강관리협회
대구지부 건강검진센터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