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심의 단독주택 지역(제1종 일반주거지역 6.1㎢)을 미래형 녹색 주거지로 재개발하는 마스터플랜이 추진된다. 고층 아파트 중심의 획일적 재개발'재건축 방식에서 탈피해 중'저층의 다양한 주거 형태를 확보하겠다는 것으로, 경제성과 주민 합의가 사업 성공의 관건이다.
대구시는 5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20개월간 40여 년에 걸쳐 형성돼 온 도심 단독주택 밀집 지역에 대한 유지'관리 방안을 수립한다. 사업 대상은 남구 대명동'달서구 송현동(1.9㎢), 수성구 만촌동(1.8㎢), 두산동(2.4㎢) 3곳으로 도시형 타운하우스(블록형 주택)나 휴먼타운 방식의 주거 형태를 고려하고 있다.
시는 2012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기초 조사 및 국내외 선진도시 사례 연구'분석을 병행한 뒤 2013년 12월까지 주택 유형 발굴, 생활환경 정비 방안, 조례 및 지침 제정 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왜 미래형 녹색 주거지인가?
지난 수십 년간 대구 주택 정비는 단독'다세대 주택을 철거한 후 고층 아파트를 짓는 천편일률적 재개발'재건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단독'다세대 주택의 형태는 보존하면서 주차장'도로 등 기반시설이나 방범'치안 설비를 강화하는 친환경(보존형) 개발 사업을 전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리모델링이 불가피한 노후 주택 경우 블록형 중'저층 공동주택으로 개발하되 공용 공간 중심의 단지계획을 통해 입주민 편의 증진 및 커뮤니티 형성을 꾀한다.
공용 공간을 중시하는 중'저층의 새로운 주거 형태는 주거문화 다양화 차원에서도 시급한 과제다. 2007년 대구시 주거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5.6%가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9년 남구 대명동 단독주택 거주민 설문에서는 75.7%가 주차 및 쓰레기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마을 환경개선 계획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고층 아파트의 대항마로 중'저층 주거 공간이 속속 도입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지난해 말 서울시가 강동구 암사동 서원마을(3만2천800㎡)을 휴먼타운 1호로 준공해 주목받고 있다.
서원마을 주민들은 1970년 노후 주택을 전면 철거하는 대신 개'보수를 택했고, 다양한 공동시설을 조성했다. 마을회관과 어린이놀이터, 마을마당을 꾸몄고, 담장을 터 도로 및 주차장을 확장하는 한편 방범용 CCTV 설치 등을 통해 교통과 치안 문제를 개선했다. 1년여 공사비 36억3천만원은 서울시와 강동구가 전액 부담했다.
대구경북연구원 도시계획 및 디자인팀 조득환 박사는 "대구의 경우 기반시설이 양호한 주거지는 서울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도 환경 개선 효과와 주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저층 주거지 보전이 필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2만~4만㎡의 소규모 단위로 가급적 예산이 적게 드는 사업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사업 성공의 관건=주민 합의(경제성)
재산권이 걸려 있다는 점에서 주택가 친환경 개발 사업의 주민 합의를 이끌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대구시가 마스터플랜 수립과 병행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도시형 타운하우스' 시범 사업도 경제성에 발목이 잡혀 주민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중구 달성공원, 수성구 범어동'연호동 일대 단독주택 지역을 대상으로 타운하우스 도입을 협의했지만 모두 실패한 것. 사업자 입장에서는 비싸게 땅을 사고 저층 주택을 지을 경우 수익을 내기 힘들고, 주민들 역시 고층 아파트에 비해 현저히 재산가치가 떨어진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대구시는 경제성 확보 차원에서 서울의 휴먼타운처럼 도로, 상하수도, 공원 등 공공시설 기반공사를 행정기관에서 지원한다는 계획이지만 주민 합의는 여전히 미지수다.
조득환 박사는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다른 도시에 비해 현저히 낮은 도시'주거환경 정비기금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무엇보다 주민 협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 개발 및 마인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