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동생의 아내를 성폭행하려 한 의혹으로 김형태 당선자(경북 포항남 울릉)가 탈당은 했지만 새누리당이 정치적 책임을 다한 것인지에 대한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당이 공천장을 주고 당선시켜놓고서는 문제가 생기자 당을 나가게 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는 자세는 '박근혜 용인술'에 대한 비판마저 낳고 있기 때문이다. 탈당이 아니라 의원직 사퇴로 마무리하라는 포항시민, 울릉군민의 목소리에 귀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19일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당선자와 논문표절 의혹이 인 문대성 당선자(부산 사하갑) 처리 문제와 관련, "지역주민이 뽑은 대표를 나가라는 것 자체가 오만한 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취지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김'문 당선자가 '친박 심기' 공천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싸고 돌 경우 총선 승리로 기선을 잡은 박 위원장에게 흠집이 생긴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정치권 사정에 밝은 한 청와대 인사는 "김 당선자는 법적 판단 이후, 문 당선자는 대학의 조사 발표 이후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 박 위원장은 대국민사과까지 할 각오를 하고 두 당선자는 의원직 사퇴로 갈무리해야 후폭풍이 잦아들 것"이라며 "자기 식구는 감싸면서 대선 과정에서 일어날지도 모를 수많은 정쟁에 남의 탓을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김 당선자가 보도자료에서 "오해를 불식시키고 법적인 문제가 마무리된 뒤 당과 존경하는 박근혜 위원장에게 반드시 돌아온다"고 밝힌 것, 문 당선자가 자진 탈당을 번복하고 "박 위원장도 끝까지 지켜보자고 했는데 그 뜻을 거스를 수 없다"고 말한 것 모두 박 위원장의 '치마폭'에 기대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면서 이 둘이 대선가도에 치명적인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결국 의원직 사퇴를 끌어내 결자해지하라는 것이다.
'김'문 사태'가 당내 계파 분열을 일으킨다는 지적도 나온다. 친이계 핵심인 이재오 의원은 이틀 연이어 자신의 트위터에 "보기 싫은 사람 쫓아낼 때에는 속전속결로 사생결단하더니 자기 사람 잘못은 눈감고 하늘만 보니 국민의 표를 얻겠나"라고 썼다.
야권도 공식'비공식 석상에서 새누리당의 '미적지근한' 태도를 문제 삼았다. 19일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박 위원장은 측근 인사들의 경천동지할 사건에 침묵으로 일관하지 말라"고 했고, 앞서 18일 박지원 최고위원은 "성추행 의원이 탈당했다고 면피되는 것이 아니다. 제2의 강용석 사건으로 반드시 국회에서 나가주는 것이 19대 국회 명예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