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의 횡포를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대구지역 중소기업인 (주)알코가 다국적기업인 레고코리아 측을 상대로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공정거래를 위반했다며 소송전에 나섰다.
알코는 최근 레고코리아와 그 회사 대표이사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방해로 서울강남경찰서에 고소한 것. 알코는 소송 배경으로 레고코리아가 계약상 우월적 지위와 부당한 방법으로 자사가 개척한 국내시장을 빼앗으려 했다고 주장했다.
알코 최계희 대표는 "지난해 말 레고사는 알코사에 일방적으로 레고 공급 중단을 통보했다"며 "겉으로는 계약기간이 만료됐다는 게 이유지만 실제 의도는 우리가 개척한 레고 교육 시장을 통째로 빼앗으려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알코는 완구에 불과한 '레고' 블럭을 '교육'과 결합, 교육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레고교육시스템'을 개발해 낸 레고 교육 전문 회사다.
2001년 레고그룹은 알코의 교육시스템에 대해 독점적 지위를 인정, 지난해까지 계약파트너로 관계를 유지했다. 알코는 파트너로서 '레고교육센터'를 운영하며 레고사로부터 교육용 레고 제품을 공급받아 자체적으로 콘텐츠 및 워크북을 개발, 가맹점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전국 113개 가맹점을 확보했다.
최 대표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가 연구개발한 교육시스템과 거래처가 한 순간에 사라졌다. 이는 명백한 다국적기업의 횡포다"며 "레고사의 일방적인 거래 거절행위에 대해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것인지 아닌 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조정신청을 해 둔 상태다"고 밝혔다.
특히 알코 측은 레고코리아가 지난 10여 년 간 회사가 구축한 가맹점 정보를 무단으로 이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 대표는 "레고코리아는 지난해 말 레고공급 중단을 통보할 즈음에 사업목적에 '교육용제품 및 컨텐츠 개발 및 보급', '교육용교구 수출입 및 판매', '전문강사 양성사업' 등을 추가한 뒤 알코와 거래 중인 가맹점주들에게 일괄적으로 가맹계약 변경을 요구하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레고코리아 관계자는 "고소 사실을 접한 뒤 법률 대리인을 통해 답변서를 제출했다"며 "법적인 판단이 나오기 전까지는 어떠한 입장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중소기업법률지원센터 주성영 소장은 "국내 대기업의 중소기업 시장 진입을 제한하듯 다국적기업도 규제할 필요가 있다"며 "다국적 기업과 거래하는 중소기업들은 경각심을 가지고 특허권과 저작권 등 지적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