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강홍식(姜弘植'1902~1971)의 삶은 맨 처음 배우로 출발했습니다. 식민지 조선에 영화산업이 처음 들어왔을 때 평양 갑부의 아들이었던, 명석한 청년 강홍식의 가슴속은 이미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으로 두근거리고 있었습니다. 예나 제나 그렇겠지만 어떤 일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기는 인물들은 거의 하나같이 부지런하며 적극적인 마인드를 가졌던 듯합니다. 이런 점에서는 강홍식도 예외가 아니어서 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무단가출을 했고, 바로 일본으로 도망치듯 떠나가서 오페라 극단의 견습생, 배우생활 등 영화 동네에서의 밑바닥을 체험했습니다. 마치 환한 불빛을 보고 멀리서 나방이 홀린 듯이 달려가듯 영화라는 신문물에 대한 활화산처럼 끓어오르는 호기심을 억누를 길이 없었던 것입니다.
무엇이 이토록 강홍식의 피와 가슴을 격정 속에 빠트린 것일까요?
강홍식이 태어난 1902년은 우리 민족이 봉건적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안간힘을 제대로 쓰지도 못한 채 식민지 제국주의자들의 조직적 유린과 수탈에 모든 것을 송두리째 내맡기고 있던 시대였습니다. 무엇이든 배워야 살고, 무엇이든 벌어야 끼니를 이을 수 있던 위기감이 팽배하던 시절, 이러한 때 강홍식에겐 영화야말로 위기를 돌파하게 해줄 수 있는 진정한 통로라는 신념이 들었던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강홍식에게 여러 대중 예술장르 중 가장 잘 어울리고 기질과 취향에 잘 들어맞는 역할이 생겼으니 그것이 곧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는 가수였습니다. 공연 중 막과 막 사이의 빈 여백을 막간(幕間)이라 하는데, 이때 관객들은 공백이 무료했습니다. 이 무료함을 즐거움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이 바로 막간 가수였습니다. 굵은 남저음 바리톤으로 막간에서 부르는 강홍식의 구성진 노래에 대하여 관객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습니다. 그만큼 강홍식의 음색에는 묘한 여운이 들어 있었습니다. 잃어버린 정겨움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이랄까. 본질에 대한 애착을 환기시켜주면서 동시에 회복에 대한 강렬한 염원으로 끓어오르게 만드는 작용력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강홍식 창법의 비결이었던 것입니다.
강홍식이 가수로서 본격적인 취입과 활동을 하게 된 것은 물론 일본의 유수한 레코드 회사들이 서울에 지점을 열기 시작한 직후의 일입니다. 강홍식은 1933년 4월 포리돌레코드사에서 유행가 '만월대의 밤'(왕평 작사'김탄포 작곡'포리돌 19060)을 첫 작품으로 발표하면서 정식가수로 데뷔했습니다. 이어서 빅터레코드사로 옮기면서 그의 가수생활은 더욱 날개를 달기 시작했습니다. '삼수갑산'이 뜻밖에 히트하면서 가수로서 강홍식의 주가는 한층 높아졌습니다. 이때 콜럼비아레코드사에서 이적을 제의해 왔고, 1933년부터 1936년까지 세상은 온통 강홍식의 무대였습니다.
특히 구성진 전통적 색조가 느껴지는 가락과 길게 뽑아내는 유장한 느낌으로 실실이 이어져가는 독특한 여운 및 그러한 정서를 재치 있게 활용한 노래 '처녀총각'은 당시 피로한 식민지 백성들에게 크나큰 위안과 격려와 용기를 주었습니다. 전국 어디를 가든 강홍식이 부른 '처녀총각'을 흥얼거리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영남대 국문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