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제조업체의 상당수가 정전발생 시 비상대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제조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지역 제조기업의 전력사용 동향과 과제 조사'를 한 결과 응답기업의 81.8%가 정전발생 시 비상대체전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상대체전력이 없는 기업들 중 66.7%는 대응 방법으로 '그저 신속히 복구되기를 기다린다'고 답했다. 32.1%는 '사내 정전 매뉴얼에 따른다'고 답해 정전 발생 시 조속한 복구만이 유일한 대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대체전력 보유 기업의 보유 형태는 '비상 발전기'가 50.0%로 절반을 차지했으며 '무정전 전원장치'(UPS)(27.8%), '두 가지 모두 보유'(22.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매출액 100억원 이하 기업의 비상대체전력 보유 비율은 11.1%인데 반해 매출 1천억원 이상 기업의 38.5%는 비상대체전력을 가지고 있어 소기업의 정전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됐다.
또 정전발생 시 예상되는 가장 큰 피해는 납기 차질이 47.5%로 가장 높았고, 품질 불량(35.8%), 수출 차질(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정부가 전력부족사태 대비책으로 실시한 '지정기간 수요조정제도'와 '주간예고 수요조정제도' 등의 수요관리정책에 대한 참여 여부는 37.2%로 나타났다.
대구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순간정전 해소 및 불합리한 전력요금제도 개선, 전력공급 확대를 위해 필요한 과제로 ▷노후화된 송배전 설비 교체 ▷정전 이전 기업체 통보 ▷계절별 차등요금제도 개선 ▷안정적인 전력 공급체계 구축 등을 꼽았다.
김동구 대구상의 회장은 "올 여름 대규모 정전 위기를 무사히 잘 넘겼지만 겨울철 전력난도 무시할 수 없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제조업체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