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빚던 남자
영원으로 길 떠나서
한 백년 후 흙으로 부서졌네
죽어서도
생전에 빚던
둥근 달을 꿈꾸고 있었네
환한 꿈 위에 풀꽃이 피고
벌레가 울고
어느 날
한 소년이 닿아 왔네
분홍 흙이 된
백자 빚던 남자의 가슴을
곱게 반죽한 뒤
달을 하나
토해 놓았네
소년은 끌리듯
귀에 대고 들었네
곱게 내쉬는 달의 숨소리를
백자 살에서
아득하게 뛰는
한 남자의
심장 뛰는 소리를
----------------
시의 소재 중에는 단순한 묘사에 만족하지 않고 강렬하게 이야기를 요구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 소재는 자신의 외양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하여 해명해주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 이야기가 소재와 밀착될 때 시는 비로소 제 역할을 끝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한국미의 극치라 할 수 있는 '백자 달항아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간적 묘사가 아니라 시간적 서술을 통해 달항아리의 미적 가치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달항아리에서 달의 숨소리를 듣게 됩니다.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