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빚던 남자
영원으로 길 떠나서
한 백년 후 흙으로 부서졌네
죽어서도
생전에 빚던
둥근 달을 꿈꾸고 있었네
환한 꿈 위에 풀꽃이 피고
벌레가 울고
어느 날
한 소년이 닿아 왔네
분홍 흙이 된
백자 빚던 남자의 가슴을
곱게 반죽한 뒤
달을 하나
토해 놓았네
소년은 끌리듯
귀에 대고 들었네
곱게 내쉬는 달의 숨소리를
백자 살에서
아득하게 뛰는
한 남자의
심장 뛰는 소리를
----------------
시의 소재 중에는 단순한 묘사에 만족하지 않고 강렬하게 이야기를 요구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 소재는 자신의 외양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하여 해명해주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 이야기가 소재와 밀착될 때 시는 비로소 제 역할을 끝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한국미의 극치라 할 수 있는 '백자 달항아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간적 묘사가 아니라 시간적 서술을 통해 달항아리의 미적 가치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달항아리에서 달의 숨소리를 듣게 됩니다.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