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벗은 채, 벗어야만 들어가는
욕조 속 물의 질감은 온도 이외의 것
살이 자라온 느낌과 닮았고 친숙한 돌기들이
비벼대는 듯
피로한 시계(視界)에서 긴장은 무너진다
어쩌면 이건 내가 처음으로 한 발짓을 품던 결
늘어난 무게를 빛으로 이어주었던 흐름
태초의 생이 태초의 소리를 빚었다면 욕조에
서처럼
움츠린 자세로 외롭게, 천천히
가는 숨 한줌을 찾았을지도 모르는 일
넘치는 만큼 달아나는 부력과 넘칠수록 더해
지는 중력에
혼자 놓인 채, 생각하는 동안
욕조 속 물의 밀도는 지금 이전의 것
컴컴한 대기를 떠돌고
빙하의 균열에서 새어나왔을 장고의 시간
물로 들어가거나 뭍으로 나온 짐승 모두
제 피를 연명하는 장기(臟器)를 가졌지만
겨우 좁은 몸통을 껴안고 있을 뿐
가장 아늑한 품에 가장 오래된 분위기에
혼자 묻힌 채, 물어봐야 하는
욕조 속 물의 깊이는 죽음 이후의 것
얕은 바닥에 누웠는데도 온밤이 정지한 기분
고향이면서 무덤인, 결국 혼자인
시인은 하나의 대상에 생명을 부여해주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시인'은 빨리 발음되어야 한다고, 즉 '신'으로 읽혀야 한다고 우스개를 하는 시인도 있습니다. 시인을 만나고도 생명을 얻지 못하는 대상만큼 불행한 경우도 없을 겁니다.
일인용 욕조에 몸을 담가본 경험은 누구나 있지만, 그로부터 이 시와 같은 생각을 끌어낸 이는 없을 겁니다. 이런 생각을 언어로 구체화하는 것이 바로 우리 시대에 시인의 역할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제 세상의 일인용 욕조도 행복해질 것입니다.
시인'경북대교수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