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대구 중구의 한 주택가에서 목에 피를 흘린 채 숨진 50대 남성이 발견됐다. 시신 옆에는 가위가 있었다. 신고자는 사망자가 세들어 살던 집주인이었다. 집주인은 사망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 같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경찰은 현장에서 혈흔(血痕)을 분석한 결과 자살이 아니라고 결론 냈다. 골목길 벽에 묻은 핏자국이 5m나 이어져 있는 등 주로 한 곳에 핏자국이 모여 있는 자살 혈흔과는 달랐던 것. 사망자 팔이 닿지 않는 맞은편 문기둥에서 피묻은 흉기를 휘두른 흔적도 발견했다. 결국 범인은 신고자인 집주인으로 밝혀졌다.
2009년 2월 대구 수성구 한 모텔 지하주차장에서 시신 일부가 비닐에 싸인 채 발견됐다. 시신 일부만으로 신원 확인이 어려웠다. 며칠 동안 수사에 어려움을 겪던 경찰은 모텔과 인접한 빌라 담벼락에서 한 방울의 혈흔을 발견했다. 경찰은 빌라에 살던 사람 중에서 용의자를 찾아낸 데 이어 담벼락에서 발견한 혈흔의 주인을 밝혀 범인을 잡을 수 있었다.
최근 성범죄 등 강력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경찰 수사에서 '혈흔 형태 분석'이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혈흔은 과학수사 중 가장 중요한 현장 증거다. 범죄 현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혈흔은 모두 똑같아 보이지만 형태가 모두 다르다.
피는 중력의 작용을 받기 때문에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흉기에서 튀어오르면서 독특한 자국을 남긴다. 혈흔을 분석하면 범행 도구를 알아낼 수 있다. 흉기를 휘두르면 폭이 좁은 타원형의 혈흔이, 둔기는 둥근 원 형태의 흔적이 남는다. 범행 도구를 바닥에 떨어뜨렸다면 남은 핏자국만으로도 어떤 도구인지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흉기나 둔기로 인한 살인이 많아 혈흔의 변수가 다양하고 역동적이기 때문에 혈흔 형태 분석이 꼭 필요하다. 혈흔으로 범인의 움직임과 피해자와의 관계, 위증 식별 등 '범죄의 재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혈흔 형태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단계는 아니다. 대구경찰청과 경찰 수사연수원에 혈흔 형태 실험실이 있을 뿐이다.
대구경찰청은 지난 2008년 아시아에서 최초로 '혈흔형태 분석기법'을 도입한 데 이어 2009년에는 혈흔 여부를 구분하는 시약인 '구아이악'을 자체 개발했다.
하지만 대구경찰청 과학수사계 직원들은 혈흔 실험을 위한 혈액 구하기가 가장 어렵다고 털어놨다. 사람의 혈액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동물 피는 감염 우려가 있다. 혈흔 실험을 할 때마다 경찰관이 직접 자신의 혈액을 뽑아 사용하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구경찰청 김기정 과학수사계장은 "대구한의대와 함께 인체 혈액과 유사한 모조 혈흔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최근 빈발하고 있는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혈흔 분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