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향(50'여'경북 성주시 선남면) 씨는 남편 박기남(57) 씨를 가끔 '나의 오른쪽'이라고 부른다. 김 씨는 남편 박 씨에게 자신의 간 오른쪽 부분을 떼어줬기 때문이다. 김 씨는 남편의 간암 선고와 함께 7일밖에 살지 못한다는 소리를 들은 지난 1월 5일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이미 온몸에 전이돼 살 수 있는 날이 일주일밖에 안 된다는 말에 눈앞이 캄캄해졌어요. 사흘 뒤 의사 선생님의 '간 이식을 하면 살 가능성이 있다'는 말에 주저 없이 저의 간을 내놓기로 했어요."
◆세 번의 죽을 고비
박 씨가 병으로 죽음의 문턱에 다다랐던 것은 이번뿐만이 아니었다. 박 씨는 12년 전 중증 간경화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지금 간 이식 수술을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는 말을 했다. 그러나 당시엔 간 이식을 할 돈도 없었고 김 씨가 간을 이식해 줄 수 있는 몸 상태가 아니어서 어쩔 수 없이 포기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식도정맥류까지 앓으면서 식도에 심한 출혈도 생겼다. 젊어서부터 배웠던 농기계 수리 기술로 생계를 유지했던 박 씨는 이때부터 일을 접고 투병생활을 시작했다.
꾸준한 병원 치료와 김 씨의 극진한 간호로 박 씨의 간경화와 식도정맥류 증세는 점점 호전되는 듯했다. 그러던 지난해 10월, 갑자기 박 씨의 배에 복수가 차기 시작하더니 소화 불량으로 인한 고통이 시작됐다. 박 씨는 결국 지난 1월 4일 집에서 쓰러져 병원 응급실로 다시 달려가야만 했다. 박 씨는 다음 날 '간암'이라는 충격적인 진단을 받았다.
박 씨를 살리기 위한 방법은 간 이식밖에 없었던 만큼 김 씨는 더는 고민하지 않고 자신의 간 오른쪽 부분을 주었다. 다행히 간 이식 수술은 성공적이었고, 회복 속도도 빨라 수술 후 3주 만에 퇴원 준비를 해도 되겠다는 이야기까지 들었다.
하지만, 그때 갑자기 박 씨의 몸이 불덩이처럼 뜨거워지더니 폐에 물이 차고 심장에도 이상이 생겨 결국 다시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담관염과 패혈증 때문이었어요. 수술 경과도 좋고 회복 속도도 빨라 금방 퇴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자칫 간 이식을 다시 해야 할 수도 있다는 말에 주저앉을 정도로 힘이 빠졌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박 씨는 중환자실에서 혈장교환술 치료를 받으면서 차츰 회복됐고, 입원 15일이 지나 일반병실로 옮겨졌다.
◆잠시 미뤄 둔 꿈
박 씨가 아프면서 생계는 김 씨의 몫이 됐다. 김 씨는 닥치는 대로 일하면서 남편을 간호할 수밖에 없었다. 식당 일이나 예식장에서의 결혼식 보조와 같은 일용직이 대부분이었다.
남편이 아플 때는 며칠씩 입원해야 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일은 할 수 없었다. 늘 아이들에게 "아버지 상태가 안 좋아지면 바로 연락해라"고 말하고 나서 일터로 나섰다.
김 씨는 박 씨의 병간호를 하면서 한 가지 꿈이 생겼다. 남편이 아플 때 기초생활수급대상자로 지정, 국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언젠가는 자신도 남을 도우면서 살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남편이 간경화에서 회복될 때쯤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또 방송통신고등학교에 입학, 3년간 열심히 공부한 끝에 지난해에는 한 전문대학의 사회복지전공에 합격하기도 했다. 하지만, 남편이 다시 쓰러지면서 만학의 꿈도 잠시 미뤄야 했다.
"남편에게 간을 나눠 준 그 순간부터 '비록 부족한 삶이지만 나눠줄 수 있는 무언가가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비록 잠시 멈춘 것이지만 남편이 다시 건강을 회복하면 그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행복할 일만 남았는데…
박 씨 부부의 몸은 점점 호전되고 있지만, 이 부부를 둘러싼 환경은 점점 나빠지고 있다.
가장 걱정되는 것이 병원비다. 부부의 간 이식 수술 비용 2천500만원은 친척과 이웃에게 빌려서 해결했다. 문제는 패혈증과 담관염을 치료하면서 생긴 추가 비용이다. 1천200만원이 넘는 비용을 더는 구할 곳이 없다.
"빌릴 수 있는 곳에서 이미 다 빌렸어요. 혹시 긴급의료지원비를 받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면사무소를 통해 알아봤지만 이마저도 조건이 안 된다고 해 거부당했어요."
박 씨 부부 수중에 모아놓은 돈도 없다. 농기계 수리 일이 농기계가 빈번하게 쓰이는 철에만 들어오기 때문에 그때 바짝 벌어둔다 해도 한 해를 살기 힘들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남편이 아프면서 김 씨 혼자 생계를 책임지다 보니 아픈 남편 병원비와 집세, 아이들 학비도 감당하기 힘들 지경이어서 돈을 모을 수도 없었다. 6년 전부터 박 씨 부부는 기초생활수급권자로 지정돼 매달 25만원씩 보조금을 받으며 살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살 곳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지금 박 씨 부부가 사는 곳은 지인이 빌려준 땅에 세워진 컨테이너 박스다. 매달 집세를 내며 살던 중 얼마 전 땅 주인이 "3월 말에 나가달라"고 요구했다. 당장 살 곳을 마련할 수 없는 이 부부는 땅 주인에게 통사정한 뒤에야 겨우 석 달의 시간을 더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기간에 집을 구하지 못하면 나가야 할 처지다.
박 씨 부부는 12년간의 몸과 마음의 고생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아내 김 씨는 지금이 가장 행복한 시간이라고 말한다.
"내가 남편에게 간을 줄 수 있다는 사실 때문만으로도 행복했고, 남편의 수술 경과가 좋아서 행복했고, 남편이 담관염과 패혈증으로 고통의 시간을 보냈는데도 다시 살아나 줘서 고맙고 또 행복합니다. 이제 남편이 얼른 나아서 집에 돌아가 행복한 삶을 살 일만 남았는데…. 잘 이겨낼 수 있겠죠?"
이화섭기자 lhsskf@msnet.co.kr
※이웃사랑 계좌는 '069-05-024143-008(대구은행), 700039-02-532604(우체국) ㈜매일신문사'입니다.
※매일신문'대한적십자사 공동기획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