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市政 감시 날 세우는 포항시의회

15일까지 임시회 열어 각종 현안 강도 높게 비판

포항시의회가 포항시의 각종 현안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움에 따라 시민들이 포항시의 앞으로 대책에 높은 관심을 쏟고 있다.

시정 견제라는 시의회 본연의 임무를 통해 시민들의 권익을 얼마나 대변할지를 이번 기회에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포항시의회는 이달 1일부터 15일까지 제199회 임시회를 진행 중인 가운데 3, 4일 이틀 동안 시정 질의를 통해 집행부를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먼저 철강 공단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많은 포항 특성상 철강 공단 주변지역의 질병 사망률이 높은 이유와 인근 주민 건강조사에 대한 결과 및 포항시 조치에 대해 관심이 모아졌다. 이 문제가 이슈화될 경우 포항철강공단에 입주한 업체에 대한 환경오염 감시 강화와 주민건강 역학조사 등의 요구가 빗발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수의계약으로 진행한 시 금고 지정에 대해서도 질책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타 금융권의 진출을 막아 공정경쟁을 해치는 수의계약을 고집한 이유와 금리 손실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성토했다.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를 돕기 위한 장애인 콜택시 제도의 조기 정착 및 앞으로 계획에 대한 논의와 폐지 줍기 등의 작업을 하는 저소득층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수립도 과제로 떠올랐다. 무료급식 예산의 삭감 이유와 급식비 지원 제도를 고치는 문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 계층을 발굴해 돕기 위한 시스템 운영 방안 문제도 거론됐다.

외국인 학교를 설립하려 했으나 학생 공급 등의 문제로 2, 3년 개교 연장을 건의한 포스코교육재단 문제도 논란이 됐다.

특히 포스코가 '지역협력 강화'를 이유로 일부 협력사 경영권을 지역민들에게 할애하는 협력기업에 대한 재정비도 건의됐다. 협력기업의 이윤을 경영자 임금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으로 공무원과 시민들의 공감을 얻었다.

이칠구 포항시의회 의장은 "포항시의 현안에 대해 깊이 있고 논리적으로 접근해 시민들의 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 주겠다"고 말했다.

시정질문을 지켜본 시민들은 "포항 현안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포항외국인학교 운영 등 사업주체를 고려하지 않은 질문과 답변 등도 많아 좀 더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